[단독] 정부, YTN 공기업 주식 매각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공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YTN 지분을 매각할 방침이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5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현 정부는 언론사 인사나 경영에 일체 관여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갖고 있다. 때문에 언론사 지분을 갖고 있을 이유도 없다"며 YTN 공기업 지분을 매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YTN과 서울신문의 지분 매각은 이같은 정부 방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전KDN 21.43%, 한국마사회 9.52%…YTN 대주주 바뀔 듯
[미디어오늘 정철운 기자]
정부가 공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YTN 지분을 매각할 방침이다. 공영적 소유구조 형태인 YTN에 큰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미디어 업계에도 적지 않은 파장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5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현 정부는 언론사 인사나 경영에 일체 관여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갖고 있다. 때문에 언론사 지분을 갖고 있을 이유도 없다"며 YTN 공기업 지분을 매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2020년 발행된 한국언론연감에 따르면 한전KDN이 21.43%, 한국마사회가 9.52%의 YTN 지분을 갖고 있다. 정부가 해당 공기업 지분을 모두 매각할 경우 30.95%의 지분이 새 주인을 찾아야 한다.
앞서 기획재정부 또한 지난 6월26일 서울신문 주식을 전량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서울신문 지분 30.49%를 갖고 있다.
기재부 국고국 관계자는 미디어오늘에 "언론 독립성 측면에서 볼 때 정부가 언론사 지분을 가질 필요나 명분이 없었던 상황에 국가채무비율을 낮춰야 한다는 뜻에서 매각을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YTN과 서울신문의 지분 매각은 이같은 정부 방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YTN은 지금까지의 공영적 소유구조가 아닌 민간 소유구조로 재편되며 민영 보도전문채널로 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YTN 내부는 격랑에 휩싸일 전망이다. YTN의 공영성이 흔들릴 우려도 높은 상황이어서 이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오늘 바로가기][미디어오늘 페이스북]
미디어오늘을 지지·격려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Copyrights ⓒ 미디어오늘.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청와대, 집 안파는 다주택 참모에 "한채 빼고 팔라는 권고, 계속 유효"
- 장혜영 "혁신 의견 받았더니 '네가 혁신대상'이란 말 들었다"
- "공영방송 수신료 MBC에 배분" 찬성·반대 팽팽
- 뻔뻔하기 그지없는 채널A 구성원들
- 김두관, 조선일보 보도에 "발췌전문일보와 같은 언론"
- MBC충북 7월부터 임금 21% 삭감에 전 직원 휴업까지
- 구조조정에 사옥매각까지… 생존 위협받는 지역언론
- ‘기자 100명 BTS 팸투어’와 병역특례 우호적 기사 관계는
- 김오수 “검수완박은 헌법 위반” 윤호중 “총장, 헌법공부 다시 해라”
- [영상] 박지현 “검수완박 당론 존중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