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GHT 03] 코로나 시대, 우리는 생존을 위해 무엇에 주목해야 하나?

2020. 6. 16. 13: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많은 이들이 벌써 코로나 팬데믹 이후를 이야기합니다. 정치·경제·사회·문화부터 환경·기술·교육 심지어 일상생활까지, 쏟아지는 전망을 보고 듣다 보면 정말 모든 것이 바뀔 것만 같습니다. 그러다 또 한편으론 이번 사태가 조금만 잠잠해지면 언제 그랬냐는 듯,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이런 복잡한 상황 속에 놓인 우리는 지금 무엇을, 그리고 어떤 변화를 가장 중요하게 느끼고 고민해야 할까요? SDF팀은 그 단초를 찾기 위해 지난 5월 14일 SBS 13층 회의실에서 SDF2020자문단과 미팅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물었습니다. "대체 무엇이 중요한가요?"

박범순│KAIST 인류세연구센터장

인간의 이동 따라 '선을 넘은 녀석들'
14세기에 제2차 페스트가 유행했잖아요. 주로 유럽에서 일어났던 흑사병을 말하는데 13세기 몽골제국의 팽창과 함께 벌어진 일입니다. 미얀마와 중국, 티벳 사이에 있는 이 지역을 몽골제국이 침략하면서 풍토병에 걸리고 쥐와 벼룩이 같이 움직이면서 균이 옮겨갔고, 실크로드를 타고 유럽으로 간 것입니다. 무역과 군사 루트에 질병이 같이 이동한 것이죠. 3차 페스트도 마찬가지입니다. 19세기 중반에 시작했는데, 청나라 군대가 반란군을 진압하러 갔다가 전염돼 돌아와서 확산되고 홍콩 쪽으로 간 것이거든요. 홍콩에서 콜카타, 뭄바이, 케이프타운으로 쭉 퍼지는 겁니다. 이 라인이 그 당시의 세계화인데 결국 무역 루트와 굉장히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콜레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인도의 풍토병이었는데요. 대영제국이 인도를 지배한 뒤에 개척한 여러 루트를 따라 콜레라가 올라가게 됩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전 세계가 항공편으로 연결돼 있기 때문에 모두가 영향을 받은 것이죠. 아직은 인류세와 기후변화, 질병의 창궐을 연결시켜서 보여주는 명확한 증거는 못 봤습니다. 하지만 꼭 그런 상황이 아니더라도, 기온이 2~3도가 더 오르는 것을 임계점으로 보는데, 이럴 경우 동토라고 시베리아 스텝지역이 녹아버리면 이 땅에 언 상태로 갇혀 있던 100만종 이상의 바이러스 같은 것이 다 나올 수가 있습니다. 인류가 겪지 못한 새로운 바이러스들이 여기서 나올 수도 있는 상황이죠.

인간이 만들어낸 시대 인류세의 위기
"바이러스만의 문제 아냐"

그런데 이게 바이러스 문제만이 아니고 아프리카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보다도 더 위험한 메뚜기 습격을 받고 있어요. 지구 온난화 때문에 따뜻해져서 메뚜기가 알을 너무 많이 까서 개체 수가 너무 많아지면서 아프리카의 농작물을 초토화하고 있고, 그게 인도 중국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게 어떤 상황이냐면 과학적인 증거가 충분하고 모든 사람들이 납득할 수 있는 그런 어떤 지식의 체계를 갖추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가 이 위기를 대응해야 되는 상황이 된거죠.

김홍중│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포스트 코로나' 아닌 문명사적 전환으로 이해, 생존 위해 모든 관계 재정립 해야"
17세기에 서구에서 겪었던 것을 지금 겪기 시작하는 것 같이 느껴집니다. 17세기 이전까지 지구상의 서구인들은 모든 문제의 원인 내지 작용에 신이 있다고 느꼈습니다. 그러다 인간이 의지를 갖고 뭔가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시대가 된 거죠. 한 200년 정도 됐고 그런데 지금 산불도 그렇고 바이러스도 그렇고 기후변화도 '인간이 작용해서 깨워놓은 힘'이 우리를 완전히 근본적으로 바꾸는 것을 모두가 목도하고 있는 시기로 접어들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들과의 관계를 재정립해야 하는 시기가 왔다. 그래서 문명사적인 것이고 행성적인 수준에서 우리를 둘러싼 모든 것들과 살아있고 죽어있고, 유기적이고 무기적인 알고 모르는 그 모든 것들과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재정립해야 될 수밖에 없는, 그래야 생존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처럼 보입니다.

문명사적 전환이란?
지금은 누가 지식인이고 누가 전문가라고 말하기 어려운 약간의 혼돈상태가 펼쳐지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저는 간단하게 '포스트 휴먼, 포스트 소셜, 포스트 내추럴' 이 세 가지를 시대를 읽는 키워드로 교차시켜야 하지 않나 그 정도의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몇 백 년을 좌우했던 진보, 발전의 이념을 "파국(catastrophe)"이라는 이념이 대체해가면서 '파국과 같이 살아야 한다'는 것이죠. 아마 지금 우리가 하는 생각들이 세계를 곧바로 바꾸지 못하겠지만 200년 후에 조금 더 쉽게 세계를 바꿀 수 있는데 씨를 뿌리는 시기가 될 것 같아요. 한 세대엔 절대 안 이루어집니다. 비관적인 것은 아니고요. 시간을 더 훨씬 넓게 봐야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문명을 말씀드리는 것이죠.

배영│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

"'분노'가 효능감 줬던 한국 사회, '연대'와 '협력'의 효능감 사회로"
한국사회가 코로나19로 목도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화 중에 굉장히 커다란 패러다임의 변화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는데요. 우리 사회가 굉장히 화가 많은 사회라고 이야기를 하는데요. 한국사회는 여러 정치적 경험을 했고 그런 학습 과정에서 '분노'가 갖는 효과가 굉장히 컸던 것 같아요. 하지만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분노'가 효능감을 가졌던 사회에서 '연대'와 '협력'의 효능감 사회로 넘어가고 있지 않나, SDF2020 연구를 통해서 과거와는 다른 차원의 사회로 가고 있는 그런 지점들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고요. 인간이 착하기 때문에 협력이나 연대를 하는 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학습을 통한 경험이 축적되고, 그것이 충분히 의미 있다는 것을 경험하면서 가능해지는 것 같은데요. SDF2020을 통해 이러한 사회 변화 과정과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이야기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치형│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기존 혁신기술 코로나 사태 막지 못해"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 목격하고 있는 것은 파국적인 상황에서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인 것 같습니다. 기술적으로 혁신적이고 진취적이고 이런 인프라들은 사실은 지금 이 위기를 막아내고 덜 망하게 하고 또는 천천히 망하게 하는데 실패한 것이잖아요. 지금까지 첨단이고 스마트하고 하여튼 혁신적이고 이런 기술이라고 알고 우리가 좋아했던 것들(인터넷, 스마트폰앱, 로봇 등)은 사실은 자가격리에만 가장 유용했던 거거든요. 이 사태를 겪고 나서 또 다시 진취적이고 혁신적이고 이런 것들을 더 하자고 할 것인지 아니면 이것을 겪으면서 앞으로는 우리가 잘 버티는 기술, 그러니까 진짜 테크놀로지라는 의미에서 기술도 그렇고 삶의 방식으로써의 기술도 그렇고 '잘 버티는 기술'을 찾아내서 그것을 공유할 것인가 이런 것들을 생각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코로나 팬데믹과 관련한 SDF2020 자문단의 다양하고 새로운 관점을 공유해봤는데요. 여러분은 어떤 이야기를 가장 인상적으로 느끼셨나요?

(SBS 뉴미디어부)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