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美의 확대 G7 초청받아들이면, 제2사드사태 맞을 수도"SCMP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을 확대하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을 수용함으로써, 사드(THAD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으로 중국을 불편하게 해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입었던 2016년의 경험을 또다시 되풀이할 것인지 주목된다고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SCMP)가 지난 5일 보도했다.
호주국립대 국제관계학 연구원인 대런 림은 최근 중국이 한국에 대해 경제적 강제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대통령 대북정책엔 중국 지지가 필수적"
"시진핑 중국 주석의 한국방문 취소될 수도"
[서울=뉴시스]유세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을 확대하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을 수용함으로써, 사드(THAD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으로 중국을 불편하게 해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입었던 2016년의 경험을 또다시 되풀이할 것인지 주목된다고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SCMP)가 지난 5일 보도했다.
SCMP는 '한-중 관계, 한국의 G7 초청 수락 후 도전 직면'(China-South Korea ties face a testing time after Seoul accepts Donald Trump’s G7 invitation_이라는 제목의 논평 기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중국에 맞서기 위해 폭넓은 동맹을 구축하려는 시도에 초청받은 한국이 인도, 호주와 함께 이를 수락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한국은 미국과 군사동맹을 맺고 있지만 중국은 2019년 무역 규모가 2443억 달러에 달할 정도로 최대 경제 파트너다. 문 대통령의 도전은 경제뿐 아니라 핵이며 북한과도 관련이 있다.
상하이 푸단(復旦)대학 국제문제연구소 치화이가오(祁怀高) 부소장은 이 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확대된 G7 가입 초대를 받아들인 3개국 중 한국이 가장 불편한 입장에 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치 부소장은 "문 대통령의 유화적 대북정책에 중국의 지지가 필수적이다. 이는 한국 정부가 회담에 참여하더라도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 배치 등 한반도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약속은 (문 대통령이)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또 북한의 가장 큰 무역 파트너이자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과 관련, 북한과 지렛대와 영향력을 부여하면서 북한과 법적 구속력이 있는 상호 원조와 협력조약을 맺은 유일한 국가다.
중국 외교부는 문 대통령이 G7 초청을 수락한 것에 대해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미국이 중국의 역내 파트너들과 관계를 강화하려 한다고 비난했다. 자오리젠(趙立堅)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2일 "중국을 겨냥한 포위망은 지지가 부족하고, 관련국들의 이익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SCMP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2016년 한국이 미국의 포위 정책에 공모한다고 판단했고 이에 따라 한국 경제는 큰 대가를 치러야 했다. 한국에 대한 중국의 보이콧으로 한국의 롯데 그룹은 중국에서 백화점과 슈퍼마켓을 폐쇄하고 나중에 완전히 철수해야 했다. 중국 관광객의 한국 방문은 60%나 급감했고 중국 내 K팝 콘서트도 금지됐다. 중국 관영 언론들은 반한감정을 북돋았고 1년 넘게 그러한 상황이 지속됐다고 SCMP는 전했다.
미국 싱크탱크 랜드 연구소의 이지영 실장은 SCMP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G7 초청은 복잡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한국이 확대된 G7 회의에 참석, 중국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을 때 한중 관계가 다시 빠르게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실장은 "중국이 시 주석의 방한을 취소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호주국립대 국제관계학 연구원인 대런 림은 최근 중국이 한국에 대해 경제적 강제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사드 분쟁이 하나의 틀을 제공하고 있다. 중국이 '외교적 동결'을 이용해 한국이 정상회담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만류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공감언론 뉴시스 dbtpwls@newsis.com
Copyright©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혜진, 결혼 전 기성용 아버지 만나 설득"
- 리사 "직장암으로 자궁·질 적출 수술…우울증까지" 충격 근황
- '남태현과 마약' 서민재 "이미지 박살 나…가족도 잃어"
- '4성급 호텔 보스' 김헌성 "우리 직원 수염·염색 가능"
- 엄정화, '페스티벌' 부를 때 결혼까지 생각했다
- "풋풋하다"…이민정, 추억 사진 공개[★핫픽]
- "정형돈, 내 구남친 아냐"…태연, '우리 결혼했어요' 추억
- 박나래, 55억 단독주택 고충 "비 오면 택배 다 젖어"
- 자승스님 입적 칠장사 감식…CCTV에 하얀 통 든 모습 찍혀(종합2보)
- 맹승지, 형광색 비키니 입고 글래머 몸매 과시 "속세 벗어나"[★핫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