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 사저 아니다"..文,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로

전병남 기자 2020. 6. 5. 21: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문재인 대통령 부부가 퇴임 이후 머물 사저를 경남 양산에 있는 평산마을에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퇴임 이후에는 잊히고 싶다고 했던 문재인 대통령의 뜻처럼 개방적인 열린 사저가 되지는 않을 거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전병남 기자입니다.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퇴임 뒤 지낼 사저의 터를 경남 양산 통도사 근처에 있는 평산마을에서 골랐습니다.

문 대통령 부부는 모아둔 돈 10억 6천여만 원을 들여 토지 다섯 필지, 2,630제곱미터를 지난 4월, 공동명의로 샀습니다.

사저 건축 비용은 양산 매곡동의 현 자택을 팔아서 충당합니다.

대통령 경호처도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4억 원가량의 경호시설 터를 별도 예산으로 확보했습니다.

[강민석/청와대 대변인 : (문 대통령은) 내부적으로도 누차 양산 매곡동 자택으로 돌아가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경호처는 도저히 경호 시설이 들어설 수 없다고 판단을 내렸습니다.]

대신 매곡동 현 자택 규모보다 작게 하라는 지시를 문 대통령이 내렸다고, 청와대는 덧붙였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신년 기자회견 (지난 1월 14일) : 대통령 끝나고 나면, 그냥 잊힌 사람으로 그렇게 돌아가고 싶고요.]

"퇴임 뒤에는 '잊히고 싶다'는 뜻을 문 대통령이 지난 1월 밝힌 것처럼, 일부 언론이 예상한 '열린 사저'는 아니"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전 봉하마을과는 달리, 개방적인 사저가 되지는 않을 거라는 얘기입니다.

(영상취재 : 조정영 ·제 일·전재현 KNN, 영상편집 : 정성훈) 

전병남 기자nam@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