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인삼·청소기..코로나 뚫은 우리나라 7대 유망 상품군은

김성은 기자 2020. 6. 1. 13: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우리나라 주요 품목 수출이 줄줄이 고배를 마신 가운데 의료용품·건강식품·디지털장비를 포함한 '7대 상품군'만큼은 지난달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우리나라 주요 20대 수출 품목 가운데에선 반도체, 선박, 컴퓨터, 바이오헬스를 제외한 16개 품목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이와 관련 산업부는 '코로나19 관련 7대 유망 상품군'으로 Δ의료용품 Δ위생용품 Δ건강식품 Δ홈쿠킹 Δ홈뷰티 Δ청정가전 Δ디지털장비를 지목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언택트·홈코노미 관련 품목 수출 급증
자료=산업통상자원부.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세종=뉴스1) 김성은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우리나라 주요 품목 수출이 줄줄이 고배를 마신 가운데 의료용품·건강식품·디지털장비를 포함한 '7대 상품군'만큼은 지난달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전세계 사람들의 생활 양상이 변화하자 그 틈을 파고든 것이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 '키워드'로 떠오른 언택트(비대면, Untact), 홈코노미와 관련해 수출 실적이 눈에 띄는 증가세를 나타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월 수출액(통관 기준)이 348억5600만달러로 전년 같은달 대비 23.7% 감소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달 수입액은 344억1900만달러로 21.1% 줄었다.

우리나라 주요 20대 수출 품목 가운데에선 반도체, 선박, 컴퓨터, 바이오헬스를 제외한 16개 품목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산업부는 이 가운데 반도체와 바이오헬스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성장할 신산업으로 점찍어둔 상태다. 이와 함께 의약품과 화장품 역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떠오르는 산업으로 꼽힌다.

이와 관련 산업부는 '코로나19 관련 7대 유망 상품군'으로 Δ의료용품 Δ위생용품 Δ건강식품 Δ홈쿠킹 Δ홈뷰티 Δ청정가전 Δ디지털장비를 지목했다.

특히 디지털장비에 속한 컴퓨터는 언택트 경제가 활성화하면서 수출액이 82.7% 급증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집에서 생활하는 사람이 늘면서 집을 의미하는 '홈'(home)과 경제를 의미하는 '이코노미'(economy)를 결합한 홈코노미 역시 대세가 돼가고 있다. 홈코노미의 대표적 상품인 가공식품 수출액은 지난달 26.6%, 진공청소기는 33.7% 늘었다.

K방역 제품인 의료용 방진복은 12만4561.5%라는 경이적인 증가율을 기록했다. 라텍스 장갑과 손소독제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99.3%, 15,018.7% 급증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우리나라 인삼, 홍삼 관련 제품은 각각 193.1%, 187.9% 늘었다.

집에서 밥을 해먹는 사람들이 늘면서 즉석밥 수출은 109.2%, 전통식품인 김치 수출도 59.8% 증가했다.

이와 관련,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급변하고 있는 글로벌 교역환경을 선도하기 위해 신성장산업인 비대면, 홈코노미, K방역 산업 등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겠다"며 "신뢰성과 회복탄력성이 높은 글로벌 벨류체인(GVC)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e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