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년 전 신라 금동신발 출토..무덤 주인은 누구였을까
[앵커]
1500년 세월이 묻어있는 이런 '금동 신발'이 경주 고분에서 나온 건 43년 만입니다. 유물이 묻힌 곳은 왕들의 고분군에서 한참 떨어져 있어서 그동안 눈에 잘 띄지 않았는데요. 그래서 앞으로의 얘기가 더 기대됩니다.
김나한 기자가 발굴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기자]
발등을 감싸는 윗면에 섬세하게 무늬를 뚫었고, 바닥까지 빼곡하게 장식했습니다.
1970년대 중반 경주 황남대총에서 나온, 금동 신발을 복원한 모습입니다.
신고 다니긴 쉽지 않아 보이는 이 신발은 망자를 장사지내는 의례용으로 추정됩니다.
5세기 무렵 신라 왕이 세상을 떠나자 이 신을 신겨 묻었습니다.
그런데 왕들의 묘인 황남대총, 천마총과는 멀찍이 떨어진 변두리에서 이 신과 꼭 닮은 금동신발이 나왔습니다.
일제강점기 120호라고 번호가 매겨진 고분 옆에 두 개의 작은 무덤이 추가로 발견됐습니다.
1950년대에는 그 위로 초가집이 어지럽게 들어서기도 했습니다.
세 개의 고분이 붙어 있어 왕족이나 귀족 가문의 묘로 추정되는 곳입니다.
금동 신발을 이렇게 흙에 파묻힌 채 살짝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신라의 고분에서 의례용 금동 신발이 나온 것은 1977년 경주 일원동 발굴 이래 43년 만입니다.
발굴 초기 단계인 120-2호 고분에서는 금동신발 뿐 아니라 머리에 쓰는 관에 달렸을 걸로 보이는 금동 장식, 청동 다리미도 나왔습니다.
변두리에 있는 만큼 왕의 먼 친척 묘가 아닐까 추정하는데, 연구자들의 눈은 이번 고분보다 규모가 크지만 아직 열지 않은 120호분에 쏠려 있습니다.
[박방룡/신라문화유산연구원장 : 한가운데에 있는 그야말로 (핵심인) 120호분에서는 우월한 그런 유물이 나올 것으로 (기대합니다.)]
(영상그래픽 : 김지혜)
CopyrightsⓒJTBC, All Rights Reserved.
- '청소' '청소'..숨진 경비원 1년치 '업무일지' 보니
- "적당히 해라" 나눔의집도 지적했던 이용수 할머니
- 피해자 가족 "운전자, 아이 쫓아가려 역주행까지 해"
- 강지영, 정일우가 차린 야식에 눈물 흘린 이유는?
- [영상] 취준생 눈물 나게 한 채용비리..사이다 결말
- [인터뷰] 전우원 "가족들, 5·18은 폭동이라며 세뇌시켜…새빨간 거짓말"
- 전기·가스요금 인상 잠정 보류…산업부 "동결은 아니다"
- [단독] "우리은행은 고검장 없었으면 힘들어"…박영수 '영향력 행사' 정황
- 강남 '여성 납치·살해' 3명 체포…"대청댐 인근에 유기" 자백
- 후쿠시마 원전 내부 손상 심각…'녹아내린 콘크리트' 붕괴 우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