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현장 지휘 대대장 "도청 사수 명령자 찾아라"
<앵커>
40년 전 5월 21일, 여기 전남도청으로 시민들이 행진을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공수부대원들이 이 맨손에 시민들한테 조준사격을 해서 50명이 넘게 숨졌습니다. 이 사건 때문에 시민들이 우리도 총을 들자고 무장을 하게 된 겁니다. 그때 이 총을 쏘라는 명령을 누가 내렸나, 아직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당시 현장에서 지휘를 했던 공수부대 대대장이 한 명 생존해 있는데 저희 취재진이 찾아가서 물었습니다.
그 대답, 전연남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1980년 5월 21일 오후 1시 전남도청 앞.
광주 시민 수천 명과 대치하던 공수부대원들이 무차별 총격을 가합니다.
당시 가장 많은 50여 명의 희생자가 나온 전남도청 앞 집단 발포입니다.
발포 현장에 있던 안부웅 전 11공수여단 61대대장은 32년 전 청문회에서 시민들에게 책임을 돌렸습니다.
[안부웅/前 11공수여단 61대대장 (88년 국회 청문회) : 정당방위라고 그랬지 않습니까? 정당방위에 입각해서 사격이 된 것입니다.]
70대 후반이 된 안 씨를 찾아갔습니다.
도청 앞 집단발포 전까지 시민은 무장하지 않았다는 공식 조사 결과가 있지만, 여전히 자위권 타령입니다.
[안부웅/前 11공수여단 61대대장 : 들어오지만 않았어도 사격은 안 했을 거야. 전쟁 경험이 없어서 그러는데 전장 심리라고. 한 사람이 사격을 하면 다른 사람도 실탄 있으면 다 사격을 한다고.]
조준 사격은 아니었다고 주장합니다.
[안부웅/前 11공수여단 61대대장 : 규정은 만일에 사격을 하면 하체를 쏘라고. 어떻게 하체만 쏘나, 마음이 급한데 조준 사격하는 X은 한 명도 없어. 전부 지향 사격이야.]
하지만 당시 공수부대가 시민을 정조준해 쐈다는 증언들은 이미 다수 나왔습니다.
[조광흠/당시 현장 취재기자 : 군이 이렇게 포진을 합니다. 전열은 앉아 쏴 자세고 뒷열은 서서 쏴 자세로.]
[김정복/80년 5월 21일 둘째 아들 사망 : 총을 맞았으면 어디를 맞았냐고 물어보니까 (머리를) 맞았대요, 직통으로 여기를. 기가 막혀서 말을 못 하겠어. 참말로….]
발포 명령자가 누구냐는 질문에 안 씨는 이렇게 답했습니다.
[안부웅/前 11공수여단 61대대장 : 명령에 의해서 (도청을) 사수하라고 그랬다고, 그걸 알아야 돼. 사수하라는 명령을 누가 내렸는지 따지라고, 그건 생전 이야기를 안 하는데. 사수란 뭐야, 내가 죽더라도 막으라는 거 아니야.]
발포 명령자를 찾으려면 도청사수 명령자를 찾으라는 건데 발포 현장 최일선 대대장 2명 중 1명은 지난해 세상을 떠났고 현재 안 씨만 생존해 있습니다.
(영상편집 : 박기덕, VJ : 이준영, 화면제공 : 그것이 알고싶다)
▶ 집단발포 날 '진돗개 하나' → 실탄 지급…누가 결정했나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793837 ]
▶ 최후 항쟁지서 첫 기념식…文 "이제라도 진실 고백해야"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793834 ]
전연남 기자yeonnam@sbs.co.kr
저작권자 SBS & SBS Digital News Lab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단독] 전두환 아들, 법인카드 '펑펑'..호화 생활 포착
- 경비원의 마지막 목소리 "산에서 100대 맞자고.."
- 마스크 벗은 '갓갓'..담담한 목소리로 "성폭행 3건 지시"
- "글래머가 낫지 않나" FC서울 관중석, '리얼돌'이 맞았다
- 내려보니 광주 비행장.."참혹했던 시신" 고통의 40년
- "완치 판정 후 일상 복귀" 지침 바꾼 보건당국, 배경은?
- 40년 전 그날의 주먹밥..광주 지켜낸 '엄마의 마음'
- 차은우, 이태원 유흥시설 방문 후 '덕분에 챌린지' 참여
- 280kg 가오리 잡고 '비인간적 인증샷'..쏟아진 비난
- 상영 금지 조치 당했던 '5·18 영화'..그 결정적 장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