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 직후 불안했던 전두환..미 대사 만나 "도움 원해"
[앵커]
미국 국무부가 최근 기밀해제한 5.18 민주화운동 관련 문건 143쪽 분량이 오늘(15일) 공개됐습니다. 전두환 씨는 12.12 군사반란 직후 미국 대사를 만나 군부 내 반대세력을 완전히 제압하지 못한 불안감도 상당히 드러낸 걸로 보입니다.
정제윤 기자입니다.
[기자]
5.18 민주화운동 전후 윌리엄 글라이스틴 당시 주한미국대사가 미 국무부에 보고한 내용들입니다.
12.12 군사반란 직후 전두환 씨를 면담한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글라이스틴 대사는 "전두환과 동료들은 군사적 반격을 저지하는데 미국의 도움을 받고 싶어한다"며 "향후 미국이 매우 곤란한 선택을 해야 할 수도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전씨가 정승화 당시 육군참모총장 지지자 등 군부 내 반대 세력이 다시 반격해올 것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냈던 걸로 보입니다.
글라이스틴 대사는 전씨에게 한국군의 분열로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고도 경고했습니다.
이에 전씨는 "자신의 행동은 쿠데타나 혁명이 아니라 박정희 대통령 암살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려는 노력"이라며 "개인적 야심이 없다"고도 했습니다.
5.18 직전 계엄령이 전국으로 확대된 뒤에는 이희성 당시 계엄사령관을 만났습니다.
이 사령관은 "시위에 나선 학생들을 통제하지 않을 경우, 한국이 베트남과 유사한 방식으로 공산화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계엄령 확대에 부정적이었던 미국 정부를 설득하려고 했던 걸로 보입니다.
이번 문건은 5.18 진상 규명을 위한 미국 정부 자료 확보의 첫 단계라는 평가입니다.
[최용주/5·18기념재단 자문위원 : 미국 정부가 이제까지 소극적인 태도랄까 그런 것을 벗어나서 진상규명 작업에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싶어 하는 전향적인 태도를…]
다만 발포명령 책임자를 가려낼 수 있는 미 국방부 자료는 빠져있어 정부는 미국에 추가 자료를 요청한다는 계획입니다.
(영상디자인 : 이정회)
CopyrightsⓒJTBC, All Rights Reserved.
- 아들이 클럽 감염인데..아버지는 격리 어기고 활보
- 조주빈 휴대전화 암호 풀렸다..유료회원 수사 속도
- "공수부대원은 시위대 아닌 계엄군 장갑차에 숨졌다"
- 장례식장 시신에서 '금니' 몰래 뽑은 절도범 발각
- [영상] 11년 만에 다시 돌아온 '블루드래곤' 이청용
- 2차 자진 출석 송영길 "정권 지지도 떨어질 때마다 압수수색"
- 11년만에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된 한국…대북 목소리 커질까
- 세계은행 올 성장률 2.1% 예상…올초 전망보다 0.4%p 올렸지만 작년보다 1%p 낮아
- 중국 언론 "중·러 합동공중순찰, 확고한 군사협력 보여준 것"
- 바지·속옷 안 입고 버스 기다리던 남성 붙잡혀…'공연음란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