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판 간 5·18 가짜뉴스, 무죄 판결도..'구멍' 난 현행법
[앵커]
이번에는 이런 5·18 가짜뉴스들에 대한 처벌은 어떻게 되고 또 어디까지 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그 중심에 서 있는 지만원 씨 사례를 중심으로 짚어보겠습니다.
박병현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우선 재판까지 간 5·18 가짜뉴스, 대부분 법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결론이 났죠?
[기자]
맞습니다. 저희가 5·18 기념재단의 도움을 받아 파악한 종결 사건은 최소 6건입니다.
대부분 지만원 씨가 연루돼 있습니다.
민사 2건은 손해배상이 내려졌습니다.
모두 2억 원이 넘는 금액입니다.
[앵커]
형사사건 가운데 무죄가 난 것도 있습니까?
[기자]
유죄 3건, 무죄 1건입니다.
현재 진행 중인 재판은 형사사건 1건입니다.
따라서 민·형사 사건을 모두 합하면 저희가 확인한 것만 7건입니다.
[앵커]
무죄는 왜 나온 겁니까?
[기자]
'피해자'가 누군지가 불분명했기 때문입니다.
지씨는 '5·18은 북한군이 내려와 펼친 게릴라전'이라는 식의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2012년 대법원은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5·18 민주화운동을 왜곡한 것은 맞지만, 피해자가 누구인지 정확히 특정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앵커]
피해자가 뚜렷하지 않으면 처벌을 못 한다는 얘기인가요?
[기자]
우리나라 형법상 명예훼손죄나 모욕죄가 성립하려면 피해자가 누구인지 분명해야 합니다.
지씨의 주장은 광주 시민과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유공자를 한 묶음으로 표현했기 때문에 피해자가 누구인지 특정되지 않는다는 논리입니다.
[앵커]
그런데 허위사실이면 뭔가 제재를 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기자]
현행법상으로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5·18재단과 민언련이 함께 만든 보고서를 보시겠습니다.
인터넷에 퍼진 201건의 가짜뉴스를 분석했는데 대부분 형사 고소를 할 수 없다는 의견입니다.
이유는 같습니다. 피해자 특정이 안 된다는 이유입니다.
이 보고서는 공론화를 거쳐 법을 바꾸자는 게 결론입니다.
[앵커]
법을 바꾸자고 했는데, 국회에서도 실제 움직임이 있었잖아요?
[기자]
그렇습니다. 저희가 파악하기론 5건이 있었습니다.
5·18과 관련해 허위 왜곡 정보를 퍼뜨리면 형사 처벌하자는 내용이 담긴 법안입니다.
하지만 20대 국회가 사실상 끝난 시점이어서 자동폐기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결국 21대 국회가 해결을 해야겠네요?
[기자]
압도적 과반을 얻은 민주당이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박광온 민주당 의원이 주도하고 있는데, 21대 국회 우선처리 법안으로 5·18특별법 개정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박 의원은 20대 국회 땐 상대당에서 아예 취급을 안 해줬지만 "이젠 대화 환경이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다시 발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박병현 기자였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태원 등 찾은 서울 교직원 158명..학교도 '비상'
- '막말' 혼내자 마구 폭행.."술 취해 기억 안 난다"
- 민경욱이 흔든 투표용지..선관위 "누군가 훔쳐갔다"
- 크렘린궁도 뚫렸다..푸틴 대변인까지 코로나 감염
- "경비실로 끌고가 'CCTV 없느냐' 묻고 폭행"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