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매체, 미중 긴장 속 '핵무기 강화론' 연일 제기

김윤구 2020. 5. 11. 13: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에 대한 미국의 중국 책임론 제기로 양국 간 긴장이 높아진 가운데 중국 관영 매체가 중국의 핵무기 강화 필요성을 연일 거론하고 나섰다.

중국 글로벌타임스는 일부 미국 정치인의 반(反)중국 발언으로 미중 간 핵전쟁 가능성에 대한 토론이 벌어지고 있다고 11일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 "핵탄두 수 늘려 핵 억지력 강화" 주장
사진 글로벌타임스. 재판매 및 DB 금지

(베이징=연합뉴스) 김윤구 특파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에 대한 미국의 중국 책임론 제기로 양국 간 긴장이 높아진 가운데 중국 관영 매체가 중국의 핵무기 강화 필요성을 연일 거론하고 나섰다.

중국 글로벌타임스는 일부 미국 정치인의 반(反)중국 발언으로 미중 간 핵전쟁 가능성에 대한 토론이 벌어지고 있다고 11일 보도했다.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의 핵무기를 강화하는 게 미국의 매파가 위험한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 신문의 후시진(胡錫進) 편집장은 지난 8∼일 연속으로 소셜미디어 웨이보(微博)에 글을 올려 중국이 핵탄두를 1천개까지 늘리고 지난해 10월 중국 국경절에 선보인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둥펑(東風)-41'(DF-41)도 최소 100기는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뤼샹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행동에 중국 엘리트와 대중은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해 더욱 생각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댜오다밍 인민대학 교수는 미중 양국이 직접적 군사 충돌과는 여전히 거리가 멀다고 했다. 그는 중국이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하지만 전쟁 준비를 지나치게 강조할 필요는 없다고 덧붙였다.

다만 그는 미국과의 군비 경쟁이 가속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어 "미국이 일방적으로 패권 경쟁을 하고 있으며 코로나19를 놓고 중국에 낙인을 찍어 양국 관계가 큰 변화를 겪고 있다"고 밝혔다.

진찬룽(金燦榮)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은 중국과 미국의 디커플링(탈동조화)에 대해 우려했다.

그는 "미국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디커플링으로 두 강대국 간 전략적 갈등이 심화하고 대만, 남중국해, 한반도가 잠재적 갈등 지역으로 될 위험이 커진다"고 지적했다.

한 익명의 군사 전문가는 "핵탄두 수를 늘리는 것은 핵 억지력의 효율성을 높이는 조치"라면서 "ICBM 방어망을 뚫는 기술을 개선하는 것도 또 다른 방법"이라고 말했다.

ykim@yna.co.kr

☞ 13일부터 지하철 혼잡시 마스크 안하면 못 탄다
☞ '부부의 세계' 전진서, 정준원 이어 과거 언행 사과
☞ 파격적 설정·수위 높은 표현…안방극장 '19금 세계'
☞ '반려견 사고' 김민교 "할머니 가족들께서 오히려 우리를…"
☞ 주민 폭행에 극단선택 경비원…경비초소 분향소엔 주민 추모물결
☞ '제자 성추행' 중학교 전 야구부 코치 항소심 징역 3년
☞ 공사 차질빚자 책임자 강아지 학대…밟고 각목으로 때려
☞ 장애 아들은 묶인 채 갇혀 굶고 맞다 숨졌다…친모는?
☞ '가장 섹시한 운동선수' 슈미트, 스포츠로 인정받겠다
☞ "퇴근하겠습니다" 눈물로 '싱글벙글쇼' 떠난 강석-김혜영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