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룡의 뭉툭한 이빨이 풀어준 2억년 전 바다의 비밀

엄남석 2020. 5. 9. 13: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약 2억5천200만년 전 페름기 말기에 화산 폭발과 급격한 기후 변화로 지구상의 생물이 싹쓸이되다시피 사라지는 최악의 대멸종을 맞지만 이후 새로운 생명체가 출현하면서 공룡시대가 열린다.

연구팀은 페름기 말기 대멸종 뒤 서로 다른 이빨을 가진 다양한 어룡들이 급속하게 등장했다는 것은 바다 생태계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화석 속에 숨겨진 이빨 통해 초기 어룡 생태계 확인
카르토린쿠스 화석 CT 이미지 턱 안쪽에 숨겨진 자갈 같은 형태의 이빨은 보라색으로 표시돼 있다. [Ryosuke Motani et al.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약 2억5천200만년 전 페름기 말기에 화산 폭발과 급격한 기후 변화로 지구상의 생물이 싹쓸이되다시피 사라지는 최악의 대멸종을 맞지만 이후 새로운 생명체가 출현하면서 공룡시대가 열린다.

트라이아스기부터 쥐라기, 백악기까지 이어진 이 시기에 육지는 공룡, 하늘은 익룡(pterosaurs)이 장악했지만 바다에는 어룡(ichthyosaurs)이 포식자로 군림했다.

바다 파충류의 일종인 어룡은 나중에 긴 주둥이에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미끈한 돌고래 모양으로 진화하지만 초기 어룡들은 물개와 비슷한 형태로 달팽이나 조개를 잡아먹었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시카고 필드박물관에 따르면 이 박물관 진화생물학 전시 책임자인 고생물학자 올리비어 리펠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금까지 발굴된 어룡 중 가장 작고 초기에 서식한 종(種)인 '카르토린쿠스 렌티카르푸스'(Cartorhynchus lenticarpus) 화석을 통해 밝혀낸 결과를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카르토린쿠스라는 이름은 '짧은 주둥이'라는 뜻으로 얼굴 모양과 일치한다.

길이는 약 30㎝밖에 안 되며 유연한 팔목 관절을 갖고 있어 물 밖으로 나와 물개처럼 육지를 돌아다녔을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어룡이 대양을 지배하는 생명체로 진화하지만 카르토린쿠스와 같은 작은 초기 어룡은 해안 가까이 살면서 해저에서 무척추 생물을 먹고 살았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통해 인간의 어금니 위치인 턱 안쪽에 자갈 같은 모양의 이빨이 숨겨져 있는 것을 확인했다.

카르토린쿠스 화석 [Ryosuke Motan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교신저자인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학의 모타니 료스케 교수는 지난 2014년 첫 연구에서는 카르토린쿠스의 이빨이 드러나지 않아 여과 섭식을 한 것으로 여겼으나 CT를 통해 새로운 사실을 밝혀내게 됐다고 설명했다.

고대 동물의 이빨은 무엇을 어떻게 먹었는지를 보여주는 단서가 되는데 카르토린쿠스의 이빨 역시 많은 것을 밝혀줬다.

자갈 모양의 이빨은 조개나 달팽이 등 무척추 생물을 싸고있는 껍데기를 깨는 데 이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마모되고 갈라진 흔적은 화석의 주인공이 30㎝ 길이밖에 안 되지만 다 자란 성체라는 점을 보여줬다.

연구팀은 다른 초기 어룡 몇몇 종도 이와 비슷한 뭉툭한 이빨을 가진 것을 밝혀냈으며 상당수는 원뿔 형태의 이빨을 가진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페름기 말기 대멸종 뒤 서로 다른 이빨을 가진 다양한 어룡들이 급속하게 등장했다는 것은 바다 생태계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초기 어룡 '카르토린쿠스' 복원도 [Stefano Broccol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또 카르토린쿠스처럼 뭉툭한 이빨을 가진 어룡의 진화는 당시 딱딱한 껍데기를 가진 생물이 많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리펠 박사는 "화석은 오래전 세계에 대한 단서가 된다"면서 "초기 어룡이 진화한 방식을 더 잘 이해함으로써 대멸종 뒤 생명의 복원이 이뤄지는 과정에 대해 알게 되고 이를 통해 얻는 교훈은 현재와도 연관돼 있다"고 했다.

eomns@yna.co.kr

☞ '부부의 세계'를 함께 보는 부부들에게 물었습니다
☞ 이태원 클럽 방문한 20대 확진자 사흘간 백화점 근무
☞ 전현무 연인 이혜성 아나운서, KBS에 사표…이유는?
☞ "노무현·문재인 대통령, 새 과제 만드는 태종 같아"
☞ DNA 족보는 그를 지목했다…29년 만에 잡힌 연쇄살인범
☞ 여친 나체 촬영 뒤 "안 만나주면 유포" 협박하더니 결국
☞ 6개월 일하며 월 10만원씩 모으면 240만원으로
☞ 정부 혼선에 코로나19 '치료 기대' 약 엉뚱한 곳으로?
☞ 장염으로 입원한 초등생, 수액주사 맞다가 심정지 사망
☞ "불났어요, 나오세요"…20여명 대피시키는 경찰 영상 화제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