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부패인사 김종인".."불리하니 27년 전 얘기" 역공

이기성 기자 2020. 4. 26. 11: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내정된 김종인 전 총괄 선거대책위원장을 향해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통합당의 전신) 대표가 연일 맹공하고 있습니다.

홍 전 대표는 26일 페이스북에서 "정체불명의 부패 인사가 더이상 당을 농단하는 것에 단연코 반대한다"며 "(비대위 체제 전환을 확정할) 전국위원회 개최 여부를 지켜보고 다시 대책을 세우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내정된 김종인 전 총괄 선거대책위원장을 향해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통합당의 전신) 대표가 연일 맹공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홍 전 대표의 행보를 두고 일각에선 "자신의 복당과 대권 재도전이 어려워질 것 같으니 네거티브를 하는 구태"라는 비판도 일고 있습니다.

홍 전 대표는 26일 페이스북에서 "정체불명의 부패 인사가 더이상 당을 농단하는 것에 단연코 반대한다"며 "노욕으로 찌든 부패 인사가 당 언저리에 맴돌면서 개혁 운운하는 몰염치한 작태는 방치하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부패 인사'란 김종인 전 위원장을 가리킨 것입니다.

1993년 4월 '동화은행 비자금 사건'에서 민주정의당 의원이던 김 전 위원장은 동화은행의 뇌물을 받은 혐의로 2심에서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고 형이 확정됐습니다.

당시 검사이던 홍 전 대표는 이 사건을 맡은 함승희 주임검사 요청으로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된 김 전 위원장(전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을 심문해 자백을 받았다고 전날 주장했습니다.

그는 "부끄러움을 안다면 이제 우리 당 언저리에 더이상 기웃거리지 말라. 뇌물 전과자로 개혁 대상자인 분이 지금까지 '개혁 팔이'로 한국 정치판에서 이 당 저 당 오가며 전무후무한 '비례대표 5선'을 했으면 그만 만족하고 그만둘 때가 되지 않았냐"고 되물었습니다.

이어 "1995년 11월 '노태우 수천억 비자금 사건'에서 재계인사들로부터 경제수석이라는 직함을 이용해 뇌물 브로커 행세를 한 혐의로 특가법상 뇌물죄로 기소돼 유죄 판결을 받고 항소를 포기한 전력도 있다"라고 했습니다.

총선 직후 '김종인 추대론'에 동조했던 홍 전 대표는 김 전 위원장이 '70년대생·경제 전문가 대선후보론'을 내세우면서 대권에 다시 도전하려는 자신을 향해 "시효가 끝났다"고 하자 이에 반발, 전날과 이날에만 8건의 글을 잇달아 올려 김 전 위원장 때리기에 나섰습니다.

그러자 김 전 위원장과 가까운 김근식 전 후보(서울 송파병)는 페이스북에서 "불과 며칠 전 '(김종인) 비대위원장 모셔야 한다'더니, 시효 끝났다는 말이 나오자마자 반대 입장으로 돌변하고 이미 다 아는 27년 전 사건까지 끄집어냈다"며 "본인의 복당과 대선후보가 어려워진 모양"이라고 비꼬았습니다.

그는 "당의 다수가 결정한 문제에 대해 자신의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입장을 바꾸고, 네거티브 정치공세에 나서는 것이야말로 진정 우리 당이 해소해야 할 구태 중의 구태"라며 "당의 요구를 끝까지 어겨 무소속 출마하고, 이제 다시 복당과 대선후보를 자임하고, 정치적 이해관계로 저질 비난하는 것이야말로 진짜 '노욕'"이라고 직격했습니다.

정진석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낯을 들고 다닐 수가 없다. 전 당 대표가 김종인 내정자를 향해 쏟아낸 말들, 얼굴이 화끈거린다"며 "이게 미증유의 참패를 겪은 정당의 모습이냐. 국민들의 손가락질이 보이지 않냐"고 반문했습니다.

당 대표 권한대행인 심재철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김 내정자가 내년 3월까지 차기 대선 승리를 위한 준비를 마치고 떠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내정자가 '무기한 전권 비대위원장'을 요구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악의적 선동"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홍 전 대표가 김 내정자를 비난하는 소재로 든 '동화은행 비자금 사건'은 홍 전 대표의 주장과 달리 그의 역할은 미미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 사건 수사를 주도했던 당시 검찰의 핵심관계자는 "홍준표가 김종인을 (조사실에서) 봤을 수는 있겠다. 한마디 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두 사람의 문제지, 법률적 의미가 있는 자백 같은 건 없었다"며 "이미 계좌추적으로 다 끝난 상황이었다. 수사기록에는 홍준표의 '홍'자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5·6공 금융계의 황제'로 불리며 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을 관리한 고(故) 이원조 전 의원을 수사하다가 '곁가지'로 김종인 전 수석도 나왔지만, "그는 애초 수사대상도 아니었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습니다.

이기성 기자keatslee@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