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택트 소비, 코로나19 인한 일시적 현상 아닌 전환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비대면을 의미하는 언택트(Untact) 소비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소비 트렌드를 바꾸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연구원은 "수퍼컨슈머에 대한 기업 대응의 중요성은 최근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더욱 강조되고 있다. 감염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소비자는 이전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언택트 소비에 나서면서 언택트 소비가 일상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비대면을 의미하는 언택트(Untact) 소비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소비 트렌드를 바꾸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언택트 소비는 소비자와 직원이 서로 만날 필요가 없는 소비 패턴을 말한다.
23일 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 EY한영의 싱크탱크인 EY한영 산업연구원은 최근 출간한 경영 부문 서적 '수퍼컨슈머'를 통해 이처럼 밝혔다.
연구원은 "수퍼컨슈머에 대한 기업 대응의 중요성은 최근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더욱 강조되고 있다. 감염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소비자는 이전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언택트 소비에 나서면서 언택트 소비가 일상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일시적 현상이 아닌, 비대면·비접촉 소비와 소셜미디어를 통한 경험 공유 등 디지털 마케팅·채널을 이용한 소비가 주류가 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수퍼컨슈머는 최신 디지털 기술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면서 공급자 중심의 시장을 소비자 중심으로 바꾼다는 면에서 과거 소비자와 구별된다. AI(인공지능)의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IoT(사물인터넷) 커넥티비티, 블록체인 등이 수퍼컨슈머가 활용하는 핵심 기반 기술"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수퍼컨슈머의 대두는 기업의 소비자 대응 전략에도 변화를 요구한다. 이미 일부 기업들은 수퍼컨슈머의 특성에 맞춰 초개인화 맞춤형 솔루션을 도입하고, 경쟁업체와 전격적으로 협력하며, 공유경제, 구독경제 플랫폼을 구축하는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앞으로 등장할 기업들은 디지털 기술을 더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경쟁에서 비로소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pej86@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우한 앞서 11월 원인모를 폐렴 돌았다"
- 박지원 "이낙연보다 센 양정철, 손혜원은 그걸 왜 문제 삼나"
- 신아영 "결혼후 불륜, 이론상 당연" 오정연 "유부남 끊어야"
- 이재명 "제발 함께 좀 살자..국민 죽어가는데 한몫 챙기겠다?"
- 황희석 "윤석열 등 14명 정리"..진중권 "조국 끄나풀이 설친다"
- 떠는 개미들..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무엇?
- '교회 누나' 이성경, 온라인 예배 찬양 화제
- 정려원 "'박사방' 입장한 너희 모두 살인자"
- '코로나 소독' 메탄올 뿌렸다가 일가족 병원행
- 홍선영 결혼하나..드레스 입고 등장 "축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