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北 반발하자.. 韓美워킹그룹 회의 간판 떼고 비공개로 열기로
정부가 '한·미 워킹그룹'의 명칭을 당분간 사용하지 않기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5일 알려졌다. 한·미 워킹그룹은 대북 제재와 북한 비핵화 문제 등과 관련한 각종 현안을 긴밀히 논의하는 한·미 간 실무 협의체다. 그런데 북한의 반발을 의식해 이 공식 기구의 이름까지 대외적으로 쓰지 않겠다는 것이다.
정부 소식통은 "미국과 대북 사업 논의를 위해 회의 자체는 계속하지만 이 회의를 비난하는 북한을 고려해 '한·미 워킹그룹'이란 '간판'을 떼고 회의를 '비공개'로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북한은 최근 여러 차례에 걸쳐 "한·미 실무팀(워킹그룹)은 신(新)조선총독부"라면서 "청와대가 이것을 만든 것은 최대 실수"라고 비난해 왔다.
정부는 조만간 서울에서 열릴 것으로 알려진 대북 제재 관련한 워킹그룹 회의를 철저히 감추고 있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이동렬 외교부 평화외교기획단장과 알렉스 웡 미 국무부 부차관보는 이달 서울에서 만나 개별 관광 등 남북 협력 관련 제재 문제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그런데 이 회의를 기존처럼 '한·미 워킹그룹'이라고 부르지 않고 회의 개최 여부도 밝히지 않고 있다. 외교부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워킹그룹 회의가 개최된다는 사실을 공식적으로 예고하고 사후에 회의 결과에 대한 보도자료도 내왔다. 하지만 이제는 개최 여부도 사후 결과도 모두 비밀에 부치겠다는 것이다.
외교부 측은 "한·미 워킹그룹 기능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하지만 전직 외교부 차관은 "북한이 싫어한다는 이유로 워킹그룹을 돌연 꼭꼭 숨겨버리는 건 지나친 '북한 눈치 보기'"라고 했다. 이런 결정에는 한·미 공조보다 남북 협력을 강조하는 정부 내 '자주파(自主派)'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관측이다. 문정인 대통령 안보특보는 지난해 말 "워킹그룹은 남북이 추진하는 일을 미국에 일러바치고 사실상 미국에서 승인받는 거라 북한이 이해하지 못한다"고 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홈플러스, 유동화증권도 상거래채권으로 취급 “4618억원 전액 변제”
- 이우용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장, ‘암 예방의 날’ 맞아 훈장
- 이재명 증인 불출석으로 ‘김만배 대장동 재판’ 6분 만에 끝…“과태료 검토”
- 정부, 올해 해외플랜트 수주목표 51조원...“우크라 재건 등 기회”
- 저축은행 연체율 8%대로...9년만에 최고치
- 한화에어로 대규모 유상증자 발표에 그룹주들 동반 급락
- 아기들 먹는 밀가루에 죽은 쥐가?… 중국서 또 이물질 논란
- NYT “국방부, 머스크에 미·중 전쟁 군사 기밀 브리핑 예정”
- 제철 맞은 영덕대게, 3마리 5만8900원 단독 특가
- 비거리 특화 고반발 드라이버, 20만원대 특가 공동구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