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는 새해가 두번인 이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 전통 명절인 설이 시작됐다.
━신정은 이제 '새해'란 의미로 다가와━음력설이 설날로 공식으로 인정된 후에도 양력설은 사흘 연휴로서 공식 명절의 지위를 유지했다.
명칭도 '신정'에서 '1월 1일'을 사용하며 양력설이 전통 명절로서 차지하는 의미가 감소했다.
음력설이 전통 명절로서 의미를 다시 되찾았다면 양력설은 '새해'로서 기억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통 명절인 설이 시작됐다. '설'은 일반적으로 '새해의 첫날'을 의미한다. 설날마다 '새해 복 많이 받으라'는 덕담이 오가는 것도 그 이유다. 새해에는 더 좋은 일이 일어났으면 하는 일종의 소망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특이하게 매년 새해의 첫날을 두 번 기념한다. 양력 설과 음력 설이다. 아무렇지 않게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일제강점기 일제의 탄압에 의한 결과였다.
이후 일본은 '신정'만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각종 언론매채를 통해 '이중과세(二重過歲)'를 강조한다. 새해를 두 번 보내는 것은 낭비이므로 양력설만을 지내야 한다는 의미다. 이때부터 일제에 의해 양력설만 공식적인 설로 간주되고 음력설은 개인의 사적 의미로 폄하됐다.
일제로부터 전통 명절로서의 지위를 빼앗긴 음력설은 75년이 지나서야 제 위치를 찾을 수 있었다. 1985년 '민속의 날'이라는 명칭 아래 음력설이 다시 공휴일화 됐고 1989년에는 명칭도 설날로 복원해 사흘 연휴를 보낼 수 있었다.
음력설은 75년을 버티고 버텨 전통 명절의 지위를 되찾았다. 일제의 억압에도 꿋꿋하게 전통을 잃지 않으려고 했던 우리나라 국민이 아니었다면 음력설은 사라졌을지도 모른다.
음력설이 전통 명절로서 의미를 다시 되찾았다면 양력설은 '새해'로서 기억되고 있다. 해방 이후 매년 연말 자정에 치는 '제야의 종'은 어느덧 새해맞이 행사로 정착해 '전통'으로 기억되고 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형진에 안정훈까지..'가세연' 왜 지지하나?
- [영상]배우 김학철, 故신격호 회장 장례식서 '먹방' 논란
- '호주 산불' 지나간 자리에 유적이.. 피라미드보다 오래돼
- 류시원, 이혼 5년 만에 결혼..예비신부는 누구?
- 배우 이동욱, 시베리아 혈통? "코랴크인 유전자있다"
- "더는 못 버텨" 영끌족의 최후…아파트 경매 49% '급증' - 머니투데이
- "김하성, 술만 마시면 때렸다"…고소당한 '임혜동' 얼굴도 공개했다 - 머니투데이
- 이소라, 신동엽 청각장애 형과 소통하고자 수화까지 배웠다 - 머니투데이
- [르포]귤 만지다 돌아서고…사과 한 알 쪼개먹고…과일 앞 한숨 - 머니투데이
- [속보]조희대 대법원장 임명동의안 가결···찬성 262표·반대 18표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