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김어준에 울고 웃는 tbs..27년만에 '철밥통' 걷어차는 사연

김일창 기자 2019. 12. 12. 07:00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취율 제조기' 대중적 인기 얻었지만 정치적 편향성 논란
독립법인화는 2017년 재허가 조건으로 부과.."상업광고 허용" 요구
김어준의 뉴스공장. © News1

(서울=뉴스1) 김일창 기자 = 서울시 소속 공무원 조직인 'tbs(traffic broadcasting system) 교통방송'이 독립 법인화를 추진한다. '철밥통'으로 불리는 공무원 지위를 왜 스스로 걷어찰까. '청취율 제조기'면서도 끊임없이 논란의 중심에 있는 '김어준의 뉴스공장'이 그 배경으로 꼽힌다.

tbs는 지난 10월31일 방송사업을 위한 별도의 재단법인 설립을 위해 '법인의 분할에 대한 변경 허가'를 방송통신위원회에 신청했다. 방통위는 조만간 위원회를 구성해 변경 허가 건을 심사, 내년 상반기 중으로 결론을 지을 계획이다.

1990년 개국한 tbs는 서울시 교통본부 산하 사업소다. tbs가 서울시로부터 독립하면 회사명은 현재 '서울특별시 교통방송'에서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로 바뀐다. 재단 대표이사도 가칭 '임원추천위원회'에서 선출하게 된다. 기존에 공무원이던 소속 직원과 대표의 신분도 달라진다.

tbs의 독립법인화는 지난 2017년 '재허가' 심사 때 부과받은 조건이다. 지난 1990년 6월11일 FM 라디오 방송을 시작한 지 27년 만에 독립법인으로 나서는 이유로 '김어준의 뉴스공장'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김어준의 뉴스공장'은 2016년 9월26일 처음 전파를 탔다. 이후 '국정농단' 사태와 '탄핵' 국면, 최근에는 조국 전 법무부장관 이슈 등 굵직한 사건을 다루면서 청취율이 치솟았다.

지난달 6일 한국리서치가 발표한 '2019년 4라운드 수도권 주중 라디오 청취율 조사' 결과에 따르면 '김어준의 뉴스공장'의 청취율은 14.5%로 1위를 지켰다. 처음 방송을 시작할 때 2.1%의 낮은 청취율을 고려하면 괄목할 만한 성장이다. tbs의 '효자'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tbs의 정치적 편향성 논란은 '김어준의 뉴스공장' 전후로 나뉜다는 평가다.

첫 시작은 지난 2017년 국정감사다. 김경진 의원 등 야당 의원은 "특정 정당 당적을 보유한 서울시장이 임명하는 공무원으로 이뤄진 tbs가 정치 대담프로와 보도프로그램을 내보내는 것은 법 위반이며 정치적 간섭 우려가 있다"며 문제제기를 시작했다.

이후 조국 전 법무부장관 이슈가 있던 올해 국감에서는 여당 국회의원마저 문제를 제기하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김성수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과방위 여당 간사)은 "tbs는 공영방송 성격이 강한데 (김어준씨와 같은) 논쟁적 인물이 시사프로그램 사회자로 적절한지 의문"이라며 "사견을 전제로 tbs가 (논쟁적 인물을 출연시키는 것에 대해)깊게 생각해야 한다"고 우려했다.

'김어준의 뉴스공장'이 방송되기 전에도 tbs의 정치적 편향성 논란은 있었을까. 지난 2000년부터 '뉴스공장'이 시작하기 직전인 2016년 6월까지 뉴스를 검색한 결과 tbs의 정치적 편향성을 보도하는 기사는 전무하다.

그렇다고 정치인 등이 출연한 시사프로그램이 없던 것은 아니다. 대표적 보수 인사인 고성국씨는 tbs에서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열린아침, 고성국입니다'를,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이철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회의원이 되기 전인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생방송 퇴근길 이철희입니다'를, 시사평론가인 김종배씨는 2016년부터 올해 1월까지 '색다른 시선, 김종배입니다'를 진행했지만 정치적 편향성 논란을 일으킨 적은 없다.

서울시로부터 독립한 후에도 계속적인 재정 지원을 받기 때문에 실질적인 '독립'이 아니라는 비판도 있다. 서울시 소속인 만큼 tbs에는 서울시 예산이 쓰인다.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 2017년 310억원, 2018년 316억원, 올해 357억원의 예산을 tbs에 배정했다. tbs가 독립하더라도 이 정도 수준의 예산은 배정받을 걸로 예상된다. 전체 예산의 80% 정도가 시 전입금이다.

표철수 방통위 상임위원은 "서울시에서 분리하지만 재원이 계속 지원되면 이사회 구성 등에서 서울시로부터 독립할 수 있겠느냐"며 "심사 과정에서 '독립성' 여부를 중점적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신 tbs는 안정적인 재원확보를 위해 '상업광고 허용'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tbs는 상업광고가 금지되고 협찬광고만 가능하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자립할 때까지 재정 지원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현재 tbs의 비정규직 인원은 200여명으로 이는 전체 직원의 절반 수준이다.

tbs 관계자는 "모든 공영방송이 그렇지만 세금이든 수신료든 공적 자원을 어느 정도 갖는다"며 "향후 광고 등 자체 수익을 확보해 단계적으로 자립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ic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