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동창리서 '고체 연료' ICBM 실험하나..'새로운 길' 촉각
작년 6월 북미-9월 남북 정상회담 동창리 폐쇄 약속 저촉
北, 고체 연료 ICBM 개발 위해 수차례 시험 발사 지속해와
올해 이스칸데르 미사일, 북극성-3형 SLBM도 고체 연료용
김동엽 "동창리 가동시 ICBM용 고체 연료 엔진시험 유력"
류성엽 "SLBM 발사 때 실증돼 관련 기술 전용은 시간 문제"
고체 연료 적용해도 ICBM 대기권 재진입 기술 해결 안돼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북한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에서 미사일 엔진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 가운데 북한이 고체 연료를 쓰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을 준비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국과 협상이 진전되지 않으면 '새로운 길'을 가겠다고 공언한 상황이라 고체 연료 대륙간 탄도 미사일이 새로운 길의 일환이 될 것이란 해석까지 나온다.
미 CNN 방송은 5일(현지시각) "북한 서해 위성발사장에서 전에 없던 움직임이 보인다"며 "북한이 인공위성이나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쏘아 올리기 위한 엔진 연소 실험을 재개하는 것일 수 있다"고 보도했다.
우리 군 당국도 동창리 엔진 실험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6일 "관련 시설을 한미 간 긴밀한 공조 하에 정찰·감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군 역시 대북 정찰을 강화하고 있다. 미군 정찰기인 RC-135S 코브라볼(콜사인 타미09)과 RC-135V 리벳조인트(콜사인 토라24)가 6일 한반도 상공을 비행했다. 미군이 동창리 엔진 실험장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처럼 우리 군과 미군, 미국 언론까지 동창리를 주시하는 이유는 이 활동이 지난해 6월 북미 정상회담과 9월 남북 정상회담의 대표적인 성과인 '동창리 시설 영구 폐쇄 약속'을 깨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번 움직임이 고체 연료 대륙간 탄도 미사일 개발을 위한 실험일 수 있다는 점은 더 우려스럽다.
그간 우리 정부는 북한이 고체 연료 대륙간 탄도 미사일 기술을 확보하지는 못했다고 봐왔다. 액체 연료 대신 고체 연료를 쓰면 연료 주입 과정이 필요 없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동식 발사가 가능해진다. 또 고체 연료는 위험하고 부식을 일으키는 액체 연료보다 오랫동안 미사일 내부에 보관할 수 있다.
고체 연료는 북한의 이동식 발사대(TEL)를 둘러싼 최근 논란과 직결돼있다. 진정한 의미의 이동식 발사를 위해선 고체 연료를 써야 하는데, 우리 정부는 발사 전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일으켜 세운 후 액체 연료를 주입해야 하는 수준이라며 현 시점에서 북한이 이동식 발사를 하지 못한다고 설명해왔다.
하지만 그간 북한은 고체 연료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개발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해왔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는 지난 9월 전문가 패널 보고서에서 "북한이 함흥 미사일 공장 등에서 활발하게 고체 연료 생산과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북한은 2016년 3월 "고체 연료 미사일 엔진 지상 분출 시험에 성공했다"고 발표했고 같은 해 8월 북극성-1형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연료를 액체에서 고체로 바꿔 수중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 북한은 2017년 2월 북극성-1형을 지상 발사형으로 개조한 북극성-2형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
북한은 올해 들어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북한판 이스칸데르 미사일 발사에 성공했다. 10월 발사한 북극성-3형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의 경우 3단 고체 연료 추진체 미사일로 평가됐다.
이처럼 고체 연료 기술 향상에 집중해온 북한이 이제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 엔진 시험에 나설 정도로 기술 수준을 높였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고체 연료 대륙간 탄도 미사일 엔진 시험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6일 뉴시스에 "(2017년 7~11월) 백두산 계열 화성 14~15호의 1단 엔진은 액체였고,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인 북극성 계열은 고체 연료를 쓰지만 아직 2000~3000㎞밖에는 날아가지 못한다"며 "북한이 동창리에서 엔진 시험을 한다면 아마도 다음은 ICBM용 고체 연료 엔진시험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7일 뉴시스와 통화에서 "올해 진행된 북한의 미사일·방사포 관련 활동이 모두 고체 연료로 진행됐다. 단거리 탄도 미사일의 능력 확장과 함께 고체 연료 기술도 크게 개선된 것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SLBM 발사 시 고체 연료 기술을 활용한 다단계 설계가 실증된 바 있기에 관련 기술의 ICBM 전용은 시간문제"라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발사하기 전에 우리 군이 먼저 탐지해 선제 타격한다는 '킬 체인'의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기존 킬 체인은 액체 연료 미사일을 전제로 짜놓은 것이기 때문에 고체 연료 미사일이 배치되면 킬 체인의 전면적인 수정·보완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다만 고체 연료 대륙간 탄도 미사일의 등장만으로 지나치게 공포심을 가질 필요는 없다는 의견 역시 있다. 북한이 아직 대륙간 탄도 미사일 대기권 재진입 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류성엽 위원은 "연료 기술을 해결하는 것과 재진입 기술은 별개"라며 "ICBM 완성을 위해서는 재진입 기술이 더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aero@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현정 "하나 뿐인 아픈 내 아들" 근황 공개
- '연예계 은퇴' 소희, 15세 연상 ♥사업가와 신혼여행
- '7번방' 갈소원, 벌써 이렇게 컸어?…"낭랑18세"
- 이진호, 불법도박 사채 빚만 13억…연예인들 피해액 10억
- '사업가♥' 장윤주, 7세 붕어빵 딸 공개…우월한 기럭지
- '3천만원→5억원' 불리는 방법?…연 116800% 이자율 '사기사건' 전말
- 김혜수, 의문의 남성과 볼키스…도대체 누구?
- '이승만 대통령 전문' 배우 권성덕 별세…향년 84세(종합)
- 난임 박수홍 아빠됐다…김다예 딸 출산
- '3번 이혼' 이상아, 전 남편 공개 저격 "유책 배우자는 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