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쳤던 근현대사의 주요 순간들..소리로 듣다
[앵커]
50년 전에도 소녀팬들의 환호는 지금과 다를게 없습니다. 하지만 같은 해, 초등학교 교정에선 이런 외침도 이어졌습니다.
[반공웅변대회/1969년 : 이 어린 가슴 속으로 생각할 때 너무나도 기가 막히고 치가 떨리는 울분을 어찌할 길 없어…]
이렇게 소리에는 시대의 초상이 새겨졌습니다.
우리 근현대사의 주요 순간들을 스쳐간 소리들, 권근영 기자가 그 전시회에 다녀왔습니다.
[기자]
['혹 뗀 이야기'/조선어독본 (1930년대) : 사방은 점점 어두워가고 산길은 험하여 방향을 잡을 수가 없어서…]
말과 글을 빼앗겼던 일제 강점기, 낭랑한 목소리로 녹음한 동화는 용케 남아 1930년대의 표준어가 어땠는지 들려줍니다.
일흔 살 독립운동가는 해방된 나라에서 목청껏 만세를 불렀습니다.
[김구/광복 1주년 연설 (1946년) : 대한독립 만세, 우리 대한, 우리 대한!]
< 드라마 '눈이 부시게' >
그러나 한밤 통행금지 사이렌은 1982년까지 이어져 귀갓길을 서둘러야 했고.
< 영화 '국제시장' >
국기하강식은 1989년까지 온국민의 하루를 지배했습니다.
언론 통폐합을 앞둔 1980년 말의 고별방송은 여전히 아쉬움의 소리로 남았습니다.
[황인용/TBC '밤을 잊은 그대에게' (1980년) : 남은 5분이, 남은 5분이 너무 야속합니다. 10분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외환위기로 희망퇴직을 앞둔 은행원들이 남긴 눈물의 메시지는 지금도 절절합니다.
['내일을 준비하며'/제일은행 (1998년) : 제가 15년 동안 근무하면서 정말 열심히 일했고요.]
요동쳤던 우리 역사를 채운 상징적인 소리들, 이젠 추억으로 남았지만 우리는 더 잘 살게 됐는지, 또 잊고 사는 건 없는지 전시장에 남겨진 소리들이 묻습니다.
(영상그래픽 : 김지혜)
CopyrightsⓒJTBC, All Rights Reserved.
- 황교안, 청와대 앞 "죽기를 각오하겠다" 투쟁 돌입
- 문 대통령 '국민과의 대화' 비판한 탁현민의 해명
- '공짜 내복' 푸는 유니클로, "자존심은 지켰으면.."
- 민원인에 카톡으로 "마음에 든다"..처벌 면한 이유
- '사회생활 만렙' 장성규가 알려주는 승진비법 꿀팁
- 황선우, 자유형 200m 금메달…이호준 동메달
- '6일 황금연휴' 귀성전쟁 시작…"오늘 하루 차량 585만대 이동"
- [인터뷰] 김종민 "이재명, 당내 다양한 생각 하나로 모으는 리더십 발휘해야"
- 한국 vs 키르기스스탄 축구 5 대 1 완승…8강 상대는 중국
- [단독] 불도 안 났는데…'핑크색 가루'로 뒤덮여 엉망이 된 집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