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영 박물관은 '피묻은 손 씻으라'..약탈 문화재 반환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프랑스가 제국주의 시절의 약탈 문화재에 대한 반환 움직임에 나서자 영국에서도 런던 대영 박물관에 소장된 약탈 문화재를 반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명망있는 인권변호사인 제프리 로버트슨 칙선변호사는 "대영박물관의 수탁자들은 세계 최대 장물 수취인들이 됐다"면서 "약탈 문화재의 대부분은 전시조차 안 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명망있는 인권변호사인 제프리 로버트슨 칙선변호사는 "대영박물관의 수탁자들은 세계 최대 장물 수취인들이 됐다"면서 "약탈 문화재의 대부분은 전시조차 안 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약탈 문화재'를 소장한 대영박물관을 비롯해 유럽과 미국 주요 박물관들은 과거 정복자나 식민 지배자로서 피지배 민족들로부터 강탈한 문화재를 돌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칙선변호사는 영국에서 최고등급의 법정 변호사를 일컫는다.
로버트슨 변호사는 "대영박물관이 아량을 베풀듯 비공식적으로 일부 '약탈 문화재'에 대한 내부 투어를 허용하고 있다"며 "약탈 문화재를 반환하는 편이 "피 묻은 손을 씻는" 진짜 개과천선"이라고 비판의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대영박물관 측이 이들 약탈문화재의 소장 과정을 교묘한 거짓말과 절반의 진실로 정당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영박물관, 파리 루브르 박물관,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등 '백과사전급 박물관'들이 침략 전쟁과 절도, 이중적 행동 등으로 다른 민족에서 빼돌린 값진 유산들을 가둬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방도는 이집트, 중국, 아프리카, 아시아, 남아메리카 사회를 파괴해 약탈한 것들을 되돌려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아프리카 문화유산이 더는 유럽 박물관의 포로로 남아있어선 안 된다"며 문화재 반환 논의에 불을 지폈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BS노컷뉴스 황명문 기자] hwang@cbs.co.kr
Copyright©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내 연애'로 해임된 맥도날드 CEO 퇴직금 수령액에 관심
- '타작 마당' 은혜로교회 신옥주, 항소심서 형량 가중
- 법원 "대한항공, 박창진에 7000만원 배상하라"..2심서 증액
- 대법원장 공관에 '예산 전용'..대법 "재발 방지" 약속
- [Why뉴스] 文대통령은 왜 아베에게 먼저 손 내밀었을까?
- 독감 11월안에 예방접종..노로바이러스·쯔쯔가무시증 주의
- 통큰 애플 "실리콘밸리 주택난 위해 2조 9천억원 기부"
- 생존수영 가르치는 강사들..'자격 논란'
- 박지원 "이재명 탄원? 진보 재집권 위해, 무죄시 '大權' 청신호"
- '폭력을 제압하라' 시진핑 메시지 0시 긴급타전..홍콩 사태 새국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