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정전협정 지도에 있는데..'함박도 논란' 왜?
[심재철/자유한국당 의원 (대정부질문/지난 9월 27일) : 북한이 그러면 차지하고 점령해도 마땅합니까?]
[이낙연/국무총리 (대정부질문/지난 9월 27일) : 거듭 말씀드리지만 1953년 정전협정 당시에 그 섬은 NLL 이북에 있었습니다.]
[박맹우/자유한국당 의원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어제) : 지금 국방부에서는 함박도는 북한 땅이다, 이건 서로 모순 아닙니까?]
[정경두/국방부 장관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어제) : 유엔사 군정위에서는 '북한의 관할이다'라고 그렇게 공식적으로 우리한테 입장을 밝혔습니다.]
[앵커]
보신 것처럼 서해 함박도라는 작은 섬이 논란입니다. 팩트체크 이가혁 기자와 함께 따져보겠습니다. 일단 함박도가 남과 북 중에 누구 관할입니까?
[기자]
한국전쟁이 끝나고 남과 북 관할 구역을 정한 것은 1953년 정전협정 때입니다.
어제(2일) 서청원 의원은 이 정전협정 내용을 근거로 남측 관할인 우도 도서군, 그러니까 섬의 그룹을 지어놓은 우도라는 섬의 도서군에 함박도도 포함돼 있다 그래서 우리 땅이다라는 취지로 주장을 했습니다.
하지만 이 서 의원의 주장은 사실과 다릅니다.
기록을 잘못 해석한 것입니다.
당시 제작된 정전협정 합의 내용을 표시한 부속지도를 보시겠습니다.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이 인터넷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이 검은 선이요.
지금은 주황색으로 표시된 이 선이 원래 지도에는 검은 선인데요.
이게 황해도와 경기도를 구분을 한 경계선입니다.
이 위쪽으로는 북측 관할, 아래쪽은 남측 관할 이렇게 당시 나눴습니다.
함박도는 분명 이 선 위에 있는 것이 보이실 것입니다.
서 의원 주장대로 함박도가 남측 관할, 우도라는 이 섬에 딸린 섬인지 그러니까 우도 섬의 그룹에 지어지는지를 보겠습니다.
이 검은 선보다 위쪽이나 왼쪽이더라도 이 네모칸마다 들어온 섬들은 남측 구역으로 정해 놨습니다.
아시다시피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 이렇게 5개 구역입니다.
그러나 함박도는 네모칸 바깥입니다.
명백한 북측 관할로 표시돼 있습니다.
다르게 해석될 여지가 없습니다.
그리고 이 정전협정을 바탕으로 함박도 아래쪽으로 NLL이 그어졌습니다.
이 상태는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제 함박도가 NLL 남쪽으로 표시된 지도도 있잖아요. 특히 국방부가 홈페이지에 그 지도를 썼다가 논란이 되기도 했죠?
[기자]
국토지리정보원의 지도 그리고 이 국토지리정보원의 지도 데이터를 받아서 쓰는 민간업체, 우리가 잘 아는 네이버, 다음, 구글 등 민간 지도가 그렇습니다.
하지만 이런 지도상의 선은 정확하게 NLL을 그려놓은 것이 아닙니다.
총 12개의 좌표로 구성된 NLL은 2급 군사기밀이기 때문에 군 당국이 이 세밀한 좌표까지 국토지리정보원에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사실상 추정치로 NLL처럼 그린 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다 보니까 함박도처럼 NLL 북쪽으로 불과 700m밖에 안 떨어진 아주 가까운 이런 섬의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그런데 이제 브룩스 전 한·미연합사령관이 함박도는 남측 관할이다라고 말한 언론 인터뷰가 있다, 그래서 이것을 이제 근거로 계속 남측 관할이다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이잖아요.
[기자]
지난 18일에 미국 VOA와의 인터뷰였는데 브룩스 전 사령관이 뭐라고 했냐면 함박도는 서해 북방한계선 이남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 맞다, 이렇게 말했다고 보도가 됐습니다.
이후에 그런데 UN사령부가 NLL 북쪽이라고 명확히 다시 입장을 밝혔고요.
브룩스 전 사령관도 곧바로 VOA에 자신이 착오를 일으켰다, 공식적으로 입장을 보냈습니다.
그래서 VOA 역시 브룩스 전 사령관이 발언을 정정했다라고 다시 보도했습니다.
[앵커]
그런데 사실은 함박도라는 섬의 존재가 많이 알려진 것이 아니었는데 이번에 이렇게 논란이 된 이유가 있습니까?
[기자]
지난 6월의 한 주간지가 보도를 하면서부터입니다.
뭐라고 했냐면 함박도에 인천 강화군 서도면 말도리 산-97이라는 주소가 부여돼 있습니다, 실제로. 이것을 근거로 우리나라 땅인데 북한이 실효적으로 실효지배한 것 아니냐 이런 의혹이 제기된다라고 보도했습니다.
그런데 이후에 UN사가 이 정전협정문을 근거로 명확히 북측 관할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어지는 어제 보신 것처럼 국정감사나 또 대정부질문 또 정당 논평 등에서 대한민국 영토를 북한에 바치려 한다 이런 비판이 지속됐습니다.
과거 어느 시점에 누가 왜 주소를 이렇게 잘못 부여를 시켰는지 북측 관할임에도 불구하고 그 과정은 국방부 등이 현재 조사 중이고 국민들에게 명확히 설명을 해야 할 부분입니다.
다만 주소가 부여되기 훨씬 전인 1953년 정전협정 때부터 북한 관할이었다 이런 사실을 고려하면 그리고 UN사가 이를 근거로 북측 관할이라고 다시 밝힌 만큼 지금 정치권 논쟁은 좀 소모적인 측면이 큽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팩트체크 이가혁 기자였습니다.
Copyright©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광화문 "조국 사퇴" 집회 참가자, 여기자 성추행
- 연쇄살인 입 연 이춘재, DNA 보여주자 한 말이..
- 술 마신 4명 때문에..육사 생도 900명 단체 뜀걸음?
- 멕시코서 억울한 옥살이 "영사는 직원과 농담만.."
- 이경규·강호동도 감탄한 홍현희 신혼집 인테리어!
- '고 김용균 사고' 결국 원청 무죄…현장에선 "위험의 외주화 여전"
- 국·영·수 다 어려운 역대급 '불수능'…만점자는 단 1명
- 부하들 탓?…임성근 전 1사단장 "물에 들어가지 말라고 했다"
- [단독] 집주인도 속인 100억대 부동산 사기…본인 확인 안 한 은행이 피해 키워
- 구슬만한 우박이 '후두둑'…"전쟁 난 줄" 부산 시민 화들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