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훼손지 정비·물류창고 설치 쉬워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앞으로 축사 등 동식물시설로 훼손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의 정비사업이 한층 쉬워진다.
개발제한구역 훼손지 정비사업은 불법 축사 등으로 훼손된 토지의 30% 이상을 공원·녹지로 조성해 기부채납하면 물류창고 설치를 허용하는 제도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개발제한구역 내 훼손지 정비사업이 활성화돼 동식물시설로 인한 GB 훼손지가 대폭 정비되고, GB를 해제하고 시행하는 공공사업이 안정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축사 등 동식물시설로 훼손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의 정비사업이 한층 쉬워진다. 개발제한구역 훼손지 정비사업은 불법 축사 등으로 훼손된 토지의 30% 이상을 공원·녹지로 조성해 기부채납하면 물류창고 설치를 허용하는 제도다.
국토교통부는 개발제한구역에서 시행하는 훼손지 정비사업의 밀집훼손지 규모, 사업요건을 완화하는 내용의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이 24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다음 달부터 시행된다.
이에 따라 개발제한구역 훼손지 정비사업 대상이 되는 밀집훼손지 규모가 종전 1만㎡ 이상에서 3000㎡ 이상으로 완화된다. 또 시행령 개정으로 면적이 3000㎡ 이상인 여러 개의 밀집훼손지를 총 1만㎡ 이상으로 결합해 정비사업을 시행할 수 있게 된다.
훼손지 판정기준은 2016년 3월 30일 이전에 준공된 동식물시설로 했으나, 이를 2016년 3월 30일 이전에 건축허가를 받은 시설로 확대한다.
정비사업구역의 정형화 등 불가피한 경우에는 밀집훼손지 면적의 5% 범위 내에서 임야를 포함할 수 있다.
정비사업 방식도 토지를 먼저 조성하고 조성된 땅을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환지방식에서 수용방식, 혼합방식으로도 가능하도록 한다.
그린벨트(GB) 해제 후 개발사업을 착공하지 않아 개발제한구역으로 자동 환원되는 기간은 2년에서 4년으로 연장된다. 재난 발생, 매장문화재 발굴허가 등 사유가 발생한 경우 추가로 1년간 연장할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개발제한구역 내 훼손지 정비사업이 활성화돼 동식물시설로 인한 GB 훼손지가 대폭 정비되고, GB를 해제하고 시행하는 공공사업이 안정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의당 탈당" vs "우리가 조국이다"..진중권-공지영 '엇갈린 진보'
- 공지영, 나경원에 "아들 F1비자 보여달라..없으면 미국인"
- 김정숙 여사, 한국어 가르치는 뉴욕 고교 가더니..
- 박지원 "조국 법무부 장관 11시간 압수수색, 굉장히 충격적"
- 수원 노래방 '06년생 폭행' 중1 "난 보호관찰 받으면 끝난다"
- "관용 베풀테니 자수해라" 대통령 약속에도…숨진 채 발견된 6살 여아 [뉴스속오늘] - 머니투데이
- "오빠, 결혼해도 제 품번 잊지 마요~" 결혼식에 日 AV 배우 등신대 등장 - 머니투데이
- 이수진 "치과 개원 후 월 3억 매출…돈독 올라 출산 망설여" - 머니투데이
- "의사 신분 이용해 소비자 속여"…여에스더, '허위 광고' 고발당해 - 머니투데이
- 16기 영숙, 상철 논란 후 첫 심경 "잔인한 현실 마주해…상처 죄송"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