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재 신채호 선생 후손, 정부 상대로 소송 낸 사연은..
[앵커]
이 유명한 경구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광복절인 오늘(15일) 특히 곱씹게 되는 말인데, 독립운동가인 단재 신채호 선생의 말입니다. 법원에서는 지금 단재 선생의 후손들이 단재 선생의 땅을 돌려달라고 낸 소송이 진행중이라고 합니다.
우선 공다솜 기자의 리포트를 보시고, 단재선생의 며느리인 이덕남 여사를 연결 할 텐테요. 잠깐 뵙기로는 아주 꼿꼿하신 분인 것 같습니다. 잠시후에 연결하겠습니다. 먼저 공다솜 기자입니다.
[기자]
[이덕남/단재 신채호 선생 며느리 : 해방이 되고 친일청산을 못 한 후유증이죠. 그래서 독립운동 한 분들이나 후예나 핍박을 몹시나 받았죠.]
단재 신채호 선생의 며느리 이덕남 여사입니다.
단재 선생은 1910년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하다 광복을 보지 못한 채 1936년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 사이 고향에 있던 땅도 일본에 넘어갑니다.
[이덕남/단재 신채호 선생 며느리 : 조선 민사령이라는 것을 일제가 발령을 해요. 우리나라 수탈법이야.]
2009년이 되어서야 단재 선생의 후손인 것을 증명할 수 있었습니다.
그때까지 단재 선생의 국적이 회복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단재 선생의 재산을 되찾는 것은 더 어려워졌습니다.
[이덕남/단재 신채호 선생 며느리 : 국적이 없어서 못 해준다는 거예요.]
제가 서있는 이곳은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주차장입니다.
독립운동가인 단재 신채호 선생이 젊은 시절 중국으로 망명하기 전까지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지금은 한 재단이 소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신채호 선생의 후손들이 이 땅의 소유권을 돌려달라고 소송을 냈습니다.
조선총독부가 강제로 빼앗았고 이후 수차례 주인이 바뀌었다는 것입니다.
후손들은 단재 선생이 1910년 대한매일신보에 삼청동 집터에 대해 밝힌 내용을 소송의 근거로 들고 있습니다.
(영상그래픽 : 김지혜)
◆ 관련 리포트
[인터뷰] 정부 상대 소송…신채호 선생 며느리 이덕남 여사
→ 기사 바로가기 : http://news.jtbc.joins.com/html/175/NB11866175.html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지민 '위안부였던 엄마에게' 편지 대독..'눈물'
- 수배범인 줄 알고..엉뚱한 시민에 테이저건 '발칵'
- 일 본사, DHC코리아와 관계 없다고?..지분율 무려
- '아베에 사죄' 주장한 주옥순, 법 심판받는다
- 이만기 붕어빵 아들 "국회의원 출마 시절 오해 받기도"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