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북 밀수출설'에서 발 빼는 日..경제 보복은 지속
<앵커>
그리고 어제(12일) 청와대가 민감한 물질 우리가 관리 못해서 북한으로 갔다는 식으로 말하는데 유엔 같은 데서 같이 검증받자, 틀린 것으로 나오면 일본이 사과하라고 했었죠. 그래서인지 일본 쪽이 어제 협의 때, 북한으로 간 건 아닌 것 같다고 입장을 바꿨습니다. 그런데 그래도 규제는 계속한다, 특히 광복절 전후해서 1천 개 이상 물건 수출을 더 까다롭게 하는 조치를 내리겠다는 방침을 다시 확인했습니다.
이어서 김혜민 기자입니다.
<기자>
그동안 일본 언론과 정치권은 한국의 전략물자가 북한으로 넘어갔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수출 규제의 정당성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전략물자의 북한 반출설을 부인했습니다.
[이호현/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관 : 일본 측은 '일부 언론에 나오는 것과 달리 북한을 비롯한 제3국으로 수출됐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한국으로 수출하는 일본 기업의 법령 준수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만 답했고, 구체적인 사례는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또 불화수소 등 3대 품목이 순수한 민간용도라면 수출 규제 대상이 아니라며 다소 시간이 걸릴 수는 있지만 허가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일본 정부의 자의적 판단에 따라 수출을 막을 수 있는 상황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일본 정부는 수출 제품 허가 심사를 면제해 주는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재래식 무기에 쓰일 수 있는 민수용품까지 수출을 통제하는 이른바 '캐치올 규제'를 도입하지 않았다는 이유를 댔습니다.
오는 24일까지 의견 수렴을 거쳐 다음 달 중순부터 시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전찬수/산업통상자원부 무역안보과장 : 이날(24일) 이전에 저희가 협의를 개최하자고 수차례 언급했습니다. 일본 측은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고, 사실상 거부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되면 군사 전용 가능성이 있는 품목에 대해 일일이 수출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1,100여 개에 이릅니다.
(영상취재 : 김원배·문현진, 영상편집 : 최혜영)
▶ 日 "수출 규제 철회 요청 없었다" 거짓말…韓, 즉각 반박
[ https://news.sbs.co.kr/d/?id=N1005350586 ]
▶ 日 여론 보여주기식 딴소리…광복절까지 치열한 외교전
[ https://news.sbs.co.kr/d/?id=N1005350611 ]
▶ 한일 갈등 중재 역할 요청하자…美 "대화 판만 깔겠다"
[ https://news.sbs.co.kr/d/?id=N1005350617 ]
▶ 이재용, 소규모 기업까지 전방위 접촉…방일 성과 주목
[ https://news.sbs.co.kr/d/?id=N1005350612 ]
김혜민 기자khm@sbs.co.kr
저작권자 SBS & SBS Digital News Lab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기본조차 무시한 실무회의..일본의 '의도적 홀대'
- 日 "한국, 화이트리스트 삭제 강행"..전방위 타격 우려
- "고래 잡을 거야" 막무가내 일본 앞 '해적 깃발단'이 뜬다
- "자판기 향하던 병사가 진짜 용의자"..軍 불신만 키웠다
- 화장실 창문 타 넘었던 성폭행 미수범, 경마장에서 검거
- 과기정통부 이삿짐 쌀 때마다 수십억..'3년 살이' 속사정
- 100% 과일주스 · 단 음료수 즐기면 암 위험도 높아진다
- 김수지, 다이빙 사상 첫 메달 안겼다..한국 수영 새 역사
- 엿새 만에 귀국한 이재용에 일본 방문 성과 물었더니..
- [녹취 공개] '안락사' 고발자만 떠났다..'케어'는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