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2주년에 쏜 미사일
文대통령, 5일전 도발때와 달리 北 발사체를 미사일로 인정
북한이 9일 오후 평안북도 구성에서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동해 방향으로 발사했다. 지난 4일 미사일·로켓 발사 이후 불과 닷새 만에 도발을 재개한 것이다. 이날 발사된 미사일들은 각각 420여㎞와 270㎞를 날아갔다. 합동참모본부는 "오늘 오후 4시 29분과 4시 49분쯤 평안북도 구성 지역에서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불상 발사체 각각 1발씩 2발을 동쪽 방향으로 발사했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최대 비행고도는 모두 50여㎞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이날 미사일 도발은 정부가 대북 식량 지원 추진을 본격화하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을 4시간 앞두고 이뤄졌다. 또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방한하고 한·미·일 안보회의가 열린 상황이었다. 이번 미사일은 지난 4일과 같은 '북한판 이스칸데르'일 것으로 분석된다. 군 소식통은 "이번에 발사된 미사일이 스커드·노동미사일이었다면 최대 비행고도가 80~150㎞는 됐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취임 2주년 KBS 대담에서 북 미사일 발사에 대해 "오늘은 고도가 낮았지만 사거리가 길었기 때문에 일단은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이번 발사체에 대해선 단거리 미사일이라고 인정한 것이다. 하지만 4일 발사체에 대해선 "고도가 낮고 사거리가 짧아 미사일로 단정하기 이르다고 봤고 한·미가 분석 중"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번 (4일)이나 이번에 북한의 훈련 발사는 일단 (군사 합의상 군사도발금지) 구역 밖에 있고, 군사 합의 이후에도 남북이 기존 무기 체계를 발달시키기 위한 시험 발사나 훈련 등은 계속해 오고 있어 남북 간 군사 합의 위반은 아니라고 본다"고 했다. 다만 "비록 단거리라도 그것이 탄도미사일의 경우에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반될 소지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또 "한·미 양국에 시위 성격이 있지 않나 생각한다"며 "비핵화 대화를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고자 하는 압박 성격도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자칫 잘못하면 대화 국면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경고한다"고 했지만 적극적으로 북한을 비판하지는 않았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임금격차는 역대 최저, 자영업은 가슴 아파"
- 北이 쏜 단거리 미사일, 한반도 전역이 타격권
- 220km→420km.. 닷새만에 사거리 2배로 늘려 연쇄 도발
- 北도발 2시간 전에도.. 靑은 '평화, 일상이 되다' 글
- "北 미사일, 하노이 결렬 불만인듯.. 판 깨려는 건 아니다"
- "내가 좌파 독재? 맞지 않는 얘기.. 先적폐청산 後협치 발언 안했다"
- 文대통령 2주년 대담.."인사실패 동의 못해, 적폐수사 前정권서"
- "한국 경제 거시적으로 크게 성공.. 청년 실업률 아주 낮아졌다"
- 美, 아태에 미사일 장벽 세운다...中의 대만 침공 막을 세번째 카드
- “이스라엘 모사드, 카타르와 휴전 협상 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