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전부터 켜진 '경고등'..몰랐거나 무시했거나

김성현 2019. 3. 21. 19:4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데스크] ◀ 앵커 ▶

지금부터는 '왜?'라는 물음표를 놓고 지열 발전소 건설 과정에 대한 여러 의문점을 하나씩 짚어 보겠습니다.

먼저 지열 발전소를 지으면서 왜 땅 밑에 무엇이 있는지, 미리 3D 조사도 안 하고 주입정부터 팠는지 따져보겠습니다.

김성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질자원연구원 박사들은 지난 2002년과 2003년 포항시 흥해읍 발전소 부지의 지반을 전기장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조사했습니다.

정상 지반이라면 전기장이 통과하면서 저항이 일어나야 하는데, 이 곳에선 땅이 갈라져 전기장을 그대로 통과시키는 단면이 여러 개 발견됐습니다.

단층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이 확인됐던 겁니다.

발전소 건설이 시작된 2010년, 지질연구원이 다시 지반조사를 맡았습니다.

단층의 존재 가능성이 이미 나온 상태이기에 정확한 확인을 위해 3차원 탄성파 조사가 필요했지만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추가조사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지질자원연구원 관계자] "(3차원 조사를 위해서는) 다양한 소스가(자원이) 이용돼야 하는데, 그 중 하나가 다이너마이트예요. 그 다이너마이트를 쓰려면 허가를 맡아야 하는데, 허가를 맡기가 어려워요."

부지선정과 시험발전 등 발전소 사업 전반을 자문했던 산학협력단 연구진도 지진 가능성을 살피는데 소홀했던 건 마찬가지.

포항 지진이 발생 일곱 달 전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시험발전을 멈추고 조사에 착수했지만, 불과 서너달의 조사 끝에 안전하다며 연구진은 물주입 재개 결정을 내렸습니다.

[양만재/포항지진 조사단 자문위원] "바젤에서 3,4 지진이 일어나서 운영을 중단했잖아요. (산학협력단) 학자들이 분명히 알았다는 거죠. 왜 가장 위험할 때 (물 주입을) 시작했느냐는 거죠."

국내 첫 시도인만큼 더더욱 위험 가능성을 꼼꼼히 챙겼어야 하지만, 정작 사업자와 연구진부터 소홀했고, 정부는 손 놓고 있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성현입니다.

김성현 기자 ()

[저작권자(c) MBC (www.imnews.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