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이사람] 김영덕 건설산업연구원 본부장 "건설공사비 현실화 없이 주 52시간 도입 우려"
정상희 2019. 1. 23. 18: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건설산업 자체의 혁신이 있어야 하는 건 당연하고, 정부도 규제에 초점이 맞춰진 제도를 탈피해 기업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
올해 초부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본부장을 맡은 김영덕 본부장(사진)은 23일 파이낸셜뉴스와 만나 건설업체들이 경영관리 역량을 키우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기존의 '노가다'라는 이미지도 자연히 탈피할 것이라고 전망한 그는 "논문이나 연구서적 외에 건설업 종사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건설경영관리 책을 꼭 내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업계, 적정관리비 확보 못한 채 인건비만 늘어나 반대하는 것
정부, 규제보다 기업 자율성 보장을
정부, 규제보다 기업 자율성 보장을
"건설산업 자체의 혁신이 있어야 하는 건 당연하고, 정부도 규제에 초점이 맞춰진 제도를 탈피해 기업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
올해 초부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본부장을 맡은 김영덕 본부장(사진)은 23일 파이낸셜뉴스와 만나 건설업체들이 경영관리 역량을 키우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건설경영 분야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다른 업종에 비해 건설업은 경영관리 측면이 취약하다고 평가했다. 전통적 생산방식과 사업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면서 관리방법도 그 자리에 머물러 있다는 것.
김 본부장은 "결국 건설업 스스로 시장을 넓혀나가는 게 답일 텐데 인접한 산업과의 융복합, IT(정보기술) 접목 등을 시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 같은 변화가 기업의 힘으로는 이뤄질 수 없다고 그는 지적했다. 김 본부장은 "당장 주52시간 근무제도만 하더라도 제도 취지에는 충분히 공감하지만 그 전제조건은 건설공사비를 현실화하는 것"이라면서 "적정공사비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인력관리에 더 많은 돈을 쓰게 되는 상황이 닥치니 받아들이기 힘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바뀌는 환경에 따른 정책 변화 자체를 업계가 거부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그는 "여태까지 신규 제도가 도입돼서 변화가 있을 때 그로 인한 영향을 기업이 다 부담한 부분이 있다보니 기업들이 주52시간제 도입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먼저 우려하는 것"이라면서 "규제가 대부분인 정책에서 벗어나 통합적이고 자유로운 관점이 필요하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측면에서 최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종합·전문 건설업체 간 업역 폐지는 건설업이 새로운 차원으로 도약하는 출발점이라고 했다.
김 본부장은 "그동안 업역 간 충돌이 심했는데, 정부가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면서 첫발을 뗐다"면서 "업체 간 자유로운 시장진입이 가능해진 것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산업의 첨단화로 가는 스타트라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과거에도 선진화방안, 구조혁신방안과 같이 이름만 다른 혁신방안이 있었고 업역 개편 논의는 벌써 30~40년 전부터 나왔다"면서 "장기 로드맵을 수립한 만큼 끝까지 이어가면서 발전적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6년간 건설업체에서 실무 경험을 쌓은 뒤 연구원으로서도 20년차를 맞은 김 본부장은 "건설업의 미래가 여전히 긍정적"이라고 단언했다. 가까운 미래에 전혀 다른 산업으로 탈바꿈한다는 전제에서다.
김 본부장은 "건설산업은 첨단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다양한 산업과의 접목이 가속화될 것이고 사업영역도 단순 토목, 건축이 아닌 실생활을 영위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모든 '인프라'로 확장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기존의 '노가다'라는 이미지도 자연히 탈피할 것이라고 전망한 그는 "논문이나 연구서적 외에 건설업 종사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건설경영관리 책을 꼭 내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wonder@fnnews.com 정상희 기자
올해 초부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본부장을 맡은 김영덕 본부장(사진)은 23일 파이낸셜뉴스와 만나 건설업체들이 경영관리 역량을 키우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건설경영 분야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다른 업종에 비해 건설업은 경영관리 측면이 취약하다고 평가했다. 전통적 생산방식과 사업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면서 관리방법도 그 자리에 머물러 있다는 것.
김 본부장은 "결국 건설업 스스로 시장을 넓혀나가는 게 답일 텐데 인접한 산업과의 융복합, IT(정보기술) 접목 등을 시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 같은 변화가 기업의 힘으로는 이뤄질 수 없다고 그는 지적했다. 김 본부장은 "당장 주52시간 근무제도만 하더라도 제도 취지에는 충분히 공감하지만 그 전제조건은 건설공사비를 현실화하는 것"이라면서 "적정공사비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인력관리에 더 많은 돈을 쓰게 되는 상황이 닥치니 받아들이기 힘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바뀌는 환경에 따른 정책 변화 자체를 업계가 거부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그는 "여태까지 신규 제도가 도입돼서 변화가 있을 때 그로 인한 영향을 기업이 다 부담한 부분이 있다보니 기업들이 주52시간제 도입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먼저 우려하는 것"이라면서 "규제가 대부분인 정책에서 벗어나 통합적이고 자유로운 관점이 필요하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측면에서 최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종합·전문 건설업체 간 업역 폐지는 건설업이 새로운 차원으로 도약하는 출발점이라고 했다.
김 본부장은 "그동안 업역 간 충돌이 심했는데, 정부가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면서 첫발을 뗐다"면서 "업체 간 자유로운 시장진입이 가능해진 것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산업의 첨단화로 가는 스타트라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과거에도 선진화방안, 구조혁신방안과 같이 이름만 다른 혁신방안이 있었고 업역 개편 논의는 벌써 30~40년 전부터 나왔다"면서 "장기 로드맵을 수립한 만큼 끝까지 이어가면서 발전적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6년간 건설업체에서 실무 경험을 쌓은 뒤 연구원으로서도 20년차를 맞은 김 본부장은 "건설업의 미래가 여전히 긍정적"이라고 단언했다. 가까운 미래에 전혀 다른 산업으로 탈바꿈한다는 전제에서다.
김 본부장은 "건설산업은 첨단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다양한 산업과의 접목이 가속화될 것이고 사업영역도 단순 토목, 건축이 아닌 실생활을 영위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모든 '인프라'로 확장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기존의 '노가다'라는 이미지도 자연히 탈피할 것이라고 전망한 그는 "논문이나 연구서적 외에 건설업 종사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건설경영관리 책을 꼭 내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wonder@fnnews.com 정상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파이낸셜뉴스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김민종, '6년 공개열애' 前애인 이승연과 연락…"장가 왜 안 가냐고"
- 김학래 "차 계약금 선물한 아내 임미숙에게 4억 선물"
- "정우성·문가비 만남, 오래된 現연인과 잠시 헤어졌을 때"…새 주장(종합)
- 지적장애인 전재산·할머니 부조금 편취…유명 탁구선수 누구?
- "김건희 방문한 곳이냐"…尹 자문의 성형외과, 별점 테러
- '12년간 7번 임신' 본능아내 "남편과 부부관계 싫진 않아"
- "尹 탄핵될 일 없다"…노상원, 군산 女무속인 찾아가 한 말
- "1000명과 잠자리"…성관계 세계 기록 도전 중 눈물
- 배우 전성애, "연하남에 홀랑 빠져" 母 불륜 폭로
- 유흥주점 30대 여성 숨진 채 발견…바닥에 피 흥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