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호주 최고 포식자는 나무 타는 사자였다

2018. 12. 14. 13: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0만년 전만 해도 호주에는 거대한 유대류가 득실거렸다.

초식동물이던 유대류 조상으로부터 전문적인 포식자로 진화한 이 선사시대 동물의 완벽한 골격을 분석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1877년 주머니사자를 학계에 처음 보고한 영국 박물학자 리처드 오웬은 이 동물을 "가장 무시무시하고 파괴적인 포식동물의 하나"라고 묘사했다.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애니멀피플]
강력한 앞발과 꼬리 이용..150kg 몸집의 '잠복 포식자'
초식동물서 진화한 '주머니사자', 3만5천년 전 멸종
1969년 호주 남부 나라쿠르테에 있는 코마츠 동굴에서 발견된 거의 완벽하게 보존된 주머니사자의 골격. 카로라,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10만년 전만 해도 호주에는 거대한 유대류가 득실거렸다. 키 2m에 몸무게 230㎏인 초대형 캥거루를 비롯해 하마 크기의 초식동물인 자이언트 웜뱃 등 대형 동물이 살았다.

이들을 잡아먹던 최상위 포식자는 주머니사자였다. 초식동물이던 유대류 조상으로부터 전문적인 포식자로 진화한 이 선사시대 동물의 완벽한 골격을 분석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주머니사자의 복원도. 호세 마누엘 카네테,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로데릭 웰스 오스트레일리아 플린더스대 교수 등은 과학저널 ‘플로스 원’ 12일 치에 실린 논문에서 “주머니사자는 나무를 이용한 최상위 포식자로 강력한 앞발과 꼬리를 이용해 사냥했다”고 밝혔다.

1877년 주머니사자를 학계에 처음 보고한 영국 박물학자 리처드 오웬은 이 동물을 “가장 무시무시하고 파괴적인 포식동물의 하나”라고 묘사했다. 이후 주머니사자의 생태와 행동을 둘러싼 논란이 150년 이상 고생물학자 사이에 이어졌다. 웰스 교수는 1969년 호주 남부 나라쿠르테에 있는 코마츠 동굴에서 거의 완벽한 주머니사자의 골격 화석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는 이 동굴과 또 다른 동굴에서 발굴된 화석을 바탕으로 이뤄진 것이다.

주머니사자의 완전한 골격과 이를 토대로 추정한 외형. 웰스 외 (2018) 플로스 원 제공.

주머니사자는 150㎏에 이르는 거대한 몸집에 체중당 무는 힘은 포유류 가운데 최고일 정도로 전문적인 킬러의 면모를 갖췄다. 강력한 앞발에는 뾰족한 발톱이 나 있고, 고양이처럼 평소에는 이를 숨길 수 있다.

그러나 애초 호주 대륙에 고립돼 살아남은 유대류는 초식동물이었기 때문에 최상위 포식자로 진화한 뒤에도 예전 초식동물의 형질이 남아있다. 연구자들은 “주머니사자는 현존하는 유대류의 다양한 형질을 합쳐놓은 것 같다”고 논문에 적었다.

예를 들어 주머니사자는 포유류 포식자 같은 송곳니가 없다. 대신 앵무새 부리처럼 길게 휜 앞니가 있다. 이 앞니는 초식동물 조상의 튀어나온 앞니를 재활용한 것이다. 식물체를 갈아 먹던 작은 어금니도 고기를 썰기에 적합하도록 변형됐다. 작은 어금니에는 철망을 자르는 볼트 커터처럼 날카로운 날이 달렸다.

주머니사자의 두개골. 앵무새 부리 같은 앞니와 볼트 커터 같은 작은 어금니가 두드러진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이번 연구를 통해 주머니사자는 길고 잘 발달한 상체와 짤막하고 등이 뻣뻣한 하체, 크고 강력한 꼬리를 지닌 것으로 드러났다. 꼬리와 쇄골의 세부구조는 이번에 처음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주머니사자는 단단한 꼬리를 받침대 삼아 나무를 타거나 뒷다리와 함께 삼각대로 이용해 걸터앉은 뒤 자유로워진 앞다리로 사체를 찢어 먹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하체의 구조가 빨리 달리는 데 적합하지 않아 사자보다는 호랑이에 가까운 ‘잠복형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강력한 쇄골은 상체가 큰 힘을 낼 수 있도록 해 나무를 잘 탔을 것으로 보았다.

주머니사자가 하마 크기의 자이언트 웜뱃을 사냥하는 상상도.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이번에 밝혀진 해부구조를 통해 주머니사자의 사냥 행동을 추론하면, 나무 위나 높은 곳에 숨어 먹이를 기다리다 덮쳐 날카로운 발톱과 이로 죽인 뒤 다른 청소동물에 빼앗기지 않도록 사냥감을 나무 위로 끌어올렸을 것이다. 또 죽은 동물을 만나면 태즈메이니아데블이 하는 것처럼 뒤로 뻗은 꼬리와 뒷발로 받치고, 자유로운 앞발로 사체를 쥐고, 찢고, 내장을 끄집어냈을 것이라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200만년 전부터 호주에 살던 주머니사자는 3만5000년 전쯤 멸종했다. 원인을 두고는 기후변화로 건조화가 진행되면서 주 서식지인 숲과 먹이 동물이 사라져 멸종했다는 ‘기후 설’과 원주민이 광범한 산불을 놓아 먹이 동물을 사냥해 멸종했을 것이라는 ‘인위적 원인설’이 논란을 벌이고 있다(▶관련 기사: 지상 최고의 킬러 등 호주의 거대동물은 누가 다 죽였나).

원주민이 동굴에 그린 주머니사자로 추정되는 동물.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Wells RT, Camens AB (2018) New skeletal material sheds light on the palaeobiology of the Pleistocene marsupial carnivore, Thylacoleo

carnifex. PLoS ONE 13(12): e0208020.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08020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신뢰도 1위 ‘한겨레’ 네이버 메인 추가]
[블록체인 미디어 : 코인데스크][신문구독]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