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이냐 '노 딜'이냐..트럼프·시진핑 'G20 담판' [뉴스+]

국기연 2018. 11. 26. 06: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30일∼12월 1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미·중 정상회담을 개최해 양국 간 무역 분쟁 해결을 위한 담판을 짓는다.

미·중 무역전쟁은 이번 정상회담이 끝난 뒤 장기전으로 넘어가고, 양측 간 공방전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고 이 방송이 전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무역전쟁 휴전·확전 갈림길 / 美·中 선택에 글로벌 경제 '명암'/국제 경제계 '딜'·'노 딜' 분석 갈려/대타협 이뤄질 가능성 크지 않아/習, 中 타격 우려 타협적 태도 전망/
트럼프 수용 땐 새 돌파구 기대감/美, 2019년부터 관세 추가 인상 예고/확전 땐 외교·안보까지 '전선'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30일∼12월 1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미·중 정상회담을 개최해 양국 간 무역 분쟁 해결을 위한 담판을 짓는다. 두 정상이 ‘딜’(deal)이냐, ‘노 딜(no deal)이냐’의 중대 갈림길에서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미·중 무역전쟁뿐 아니라 외교·안보 관계의 전개 양상이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번 정상회담이 글로벌 경제 진로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국제금융시장이 회담 결과에 따라 크게 출렁일 수 있다.

국제 경제계에서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미·중 간 무역전쟁을 끝낼 수 있는 대타협이 이뤄질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비관론이 우세하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불가한 협상 스타일과 중국 경제의 치명상을 피하려는 시 주석의 타협적인 태도로 새로운 돌파구가 열릴지 모른다는 기대감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

미국의 경제 전문 뉴스채널인 CNBC방송은 24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기념촬영이나 하고, 가짜 협상안을 제시하면서 장기 휴전안을 마련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그러나 두 정상이 단기적인 휴전에만 합의해도 시장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것이라고 CNBC가 전했다. 미·중 무역전쟁은 이번 정상회담이 끝난 뒤 장기전으로 넘어가고, 양측 간 공방전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고 이 방송이 전망했다. 미·중 양국의 무역전쟁이 격화하면 외교·안보 분야에서도 양측 간 대결이 더욱 첨예해질 가능성이 크다.

중국 경제는 이미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를 받고 있다. 중국은 무역전쟁의 충격을 완화하려고 위안화 가치를 계속해서 내리는 방향으로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 당국이 위안화의 지속적인 하락을 유도하면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함으로써 양국 간에 환율전쟁이 발발할 수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4월7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대화를 나누는 모습.
팜비치=A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세계 1, 2위 경제대국 간 무역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의 동반 추락을 막아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이날 보도했다. 양측이 정상회담을 앞두고 장외 힘겨루기를 계속하고 거칠게 말싸움을 했지만, 이것이 비관론이 아니라 낙관론의 근거가 될 수도 있다고 SCMP가 주장했다. 이는 정상회담을 앞둔 양측의 기싸움이라고 이 신문이 주장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중국이 개혁·개방에 나서려면 외부의 압력이 있어야 하고, 트럼프 정부가 압박을 가하면 중국이 시장개방 폭을 확대할 수도 있다고 SCMP가 지적했다.

미국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특별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내년 1월 1일부터 중국산 수입품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올리고, 중국도 대미 보복 조처로 맞섬으로써 내년 초부터 무역전쟁이 확전 양상으로 치달을 수 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