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미중 무역마찰 최대 피해국..왜 중국이 아니라 한국인가?

입력 2018. 11. 14. 09: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세계 경제와 증시의 특징을 꼽으라면 단연 미중 간 무역마찰이 지속된 점이 아닐까 생각하는데요. 이제는 미중 간 마찰에 2년 동안 지속됨에 따라 국가별 명암이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미중 간 마찰이 내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지금까지 나타난 국가별 명암은 해당 국가의 경제정책이나 기업경영, 투자전략을 짜는데 상당한 도움되지 않을까 생각하는데요.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서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올해 세계 증시의 특징을 꼽으라면 단연 미중 마찰에 천수답 움직임을 보인 점이지 않습니까?

-미중 간 마찰,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지속

-올 3월 커들러 NEC 위원장 취임 이후 강경

-중간선거, 상원-공화당, 하원-민주당 다수당

-민주당 보호주의 기조, 미중 마찰 지속될 듯

-미중 마찰, 변수가 아니라 상수로 세계질서

이달말 G20회담에서 트럼프와 시진핑 간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는데요. 예상해 볼 수 있는 시나리오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최상 시나리오, 트럼프와 시진핑 극적 타결 15%

-차상 시나리오, 트럼프 양보 속 미완성 봉합 30%

-차하 시나리오, 시진핑 양보 속 미완성 봉합 40%

-최악 시나리오, 트럼프와 시진핑 갈등 격화 15%

-미중 협상 재개, ‘양치기 소년’ 이솝 우화 무반응

말씀대로 미중 간 마찰이 지속되면서 당사국인 미국과 중국의 명암은 어떤지부터 정리해 주시지요.

-미중 마찰 당사국, 정도 차 있지만 모두 패자

-미국, 대중 적자 확대 속 2Q 이후 성장률 둔화

-중국, 1Q 6.8%->2Q 6.7%->3Q 6.5%->6.2%

-소비자 물가, 올 1월 1.5%->9월 2.5% 상승

-연내 물가 3%대 도달, 스태그플레이션 조짐

세계 경제 양대국 간의 마찰이라 다른 국가에 미치는 영향도 큰 데요. 먼저 피해국가는 어떤 국가들입니까?

-차이메리카 리스크 취약국가 속속 발표

-모건스탠리, 중국 연관비중 높은 ‘T10’

-한국, 대만, 말련, 인니 등 중국 주변국가

-IMF, 모리스 골드스타인 위기지표로 판단

-베네수엘라, 인니, 터키, 남아공, 필리핀 취약

말씀하신 취약국가 중에서도 한국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오는데요. 왜 그런지 특별한 배경이라도 있습니까?

-한국이 중국에 가장 취약한 국가로 분류돼

-미중 수출비중 40%, 대중국 수출비중 27%

-대외경제정책, 박근혜 정부부터 중국에 편향

-금융시장, 올 9월 이후 유커 윔블던 현상 심화

-동조화 계수 급등, 증시 0.8, 외환시장 0.9

미중 간 마찰이 지속되면서 오히려 부각된 국가가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국가들이 부상하고 있습니까?

-미중 마찰의 양면성, 취악국과 유망국 양분

-인구 등 내수시장 규모와 4차 산업이 관건

-선진국 중 일본, 므누신 환율조작 발언 불리

-신흥국 중에서는 인도, 폴란드가 최대 수혜국

-한국에서 베트남 부각되나 부동산 제외 불리

올해는 미중 간 마찰 속에서도 인도 경제가 부상되는 것이 단연 눈에 띠는데요. 특별한 요인이라도 있습니까?

-인도, 미중 마찰 속에 성장률 7%대 재진입

-내수 좌우, 4년 후 인도 인구가 중국 추월

-내수 비중 72%, 미중 마찰 등에 안전지대

-전체 인구의 50% 이상 25세 이하 젊은층

-수학, IT 등 가장 과학적이고 창의적 인구

-4차 산업혁명 등 신흥국 중 최적합국 분류

미중 간 마찰이 앞으로도 지속된다면 지금까지 가장 큰 피해를 받았던 우리 입장에서는 뒤늦게라도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떤 대책이 필요합니까?

-1기 경제팀, 미중 마찰보다 내부 현안 갇혀

-2기 경제팀, 내부 현안보다 미중 마찰 중요

-미중 마찰 대응 방향, 모디노믹스 벤치마크

-경제활력과제: 심리안정, 현장경제, 시장중시

-친기업, 규제완화, 감세 통해 경제의욕 고취

-잠재성장과제: 구조 개혁과 4차 산업 육성

-‘made in korea’, 제조업 resoring & refresh

-민생경제과제: 정부 주도보다 국민 현안 해결

-대외정책과제: 대중 쏠림 해결과 상시 국가IR

-남북협력과제: 경기와 국정과제 균형 속 추진

-정책운영과제: 소득주도 성장 등 유연성 부여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