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같은 거죠 뭐"..'합격 자소서' 베끼는 취준생들 [뉴스+]

이창수 2018. 10. 25. 18: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종의 족보같은 거죠 뭐."

최근 취업에 성공한 최모(26·여)씨는 지난했던 취업 준비 기간을 '자기소개서와의 사투였다'고 떠올렸다.

25일 취업정보 공유 커뮤니티들을 살펴본 결과, 다수의 커뮤니티에서 합격 자소서를 올리는 게시판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격 자소서를 올려본 경험이 있는 대학생 김모(26)씨는 "(자소서를 올리고) 바닥을 친 자존감을 조금이나마 회복하고 약간의 우쭐감을 느꼈던 것 같다"며 "최종합격을 기원하며 덕(德)을 쌓는 듯한 느낌도 있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기소개서 '품앗이' 개념 공유 / 역대급 취업난에 "일종의 족보" / "경험 솔직하게 쓰는게 더 유리"

“일종의 족보같은 거죠 뭐….”

최근 취업에 성공한 최모(26·여)씨는 지난했던 취업 준비 기간을 ‘자기소개서와의 사투였다’고 떠올렸다. 기업마다 물어보는 것은 모두 제각각, 원고지 20매 넘는 분량을 요구하는 곳도 꽤 있었다. 채용시즌에 보통 40∼60곳 정도 원서를 넣는 것을 감안하면 이미 써둔 자소서를 ‘복붙’(복사+붙여넣기)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어떨 때는 인터넷에 떠도는 합격 자소서를 슬쩍 ‘참고’하기도 했다. 마음 한 구석이 찔리긴 했지만 일단 붙는 게 먼저였기 때문이다.

최씨는 “정말 가고 싶은 기업은 남이 쓴 자소서들을 모아서 시험문제 풀듯 분석하고 짜깁기했다”며 “20만∼30만원에 달하는 자소서 컨설팅을 받지 못하는 입장에선 그것이 최선이었다”고 털어놨다.

‘적(敵)의 적은 동지’라서일까. 최근 취준생들이 각자 서류를 통과한 자소서를 일종의 ‘품앗이’ 개념으로 공유하는 모습을 보여 눈길을 끌고 있다. 역대급 취업난을 겪는 취준생들이 지혜를 모은 것이란 시선이 있는 반면, 그만큼 자소서의 가치가 땅에 떨어진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25일 취업정보 공유 커뮤니티들을 살펴본 결과, 다수의 커뮤니티에서 합격 자소서를 올리는 게시판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원수 180만명인 한 온라인 카페를 보면 10월1일부터 이날까지 대기업 위주 합격 자소서가 700건 넘게 올라왔다. 회원수 240만명인 카페에도 같은 기간 자소서가 600건가량 올라왔다. 내용을 살펴보면 ‘고시에서 번번이 낙방한 일’, ‘어릴 때 가족과 헤어진 일’ 등 내밀한 내용이 적지 않다.

자소서를 공유하는 표면적인 이유는 회원 등급 상승이나 이벤트 참여이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예컨대 ‘면접 컨설팅’을 조건으로 내건 한 커뮤니티를 보면 실제 ‘컨설팅 요청’을 기재한 게시글은 20건에 1건 꼴로 드물다. 합격 자소서를 올려본 경험이 있는 대학생 김모(26)씨는 “(자소서를 올리고) 바닥을 친 자존감을 조금이나마 회복하고 약간의 우쭐감을 느꼈던 것 같다”며 “최종합격을 기원하며 덕(德)을 쌓는 듯한 느낌도 있다”고 설명했다.

대학입시 때부터 횡행하는 ‘자소서 공유’ 문화가 고스란히 이어진 모습이란 시각도 있다. 최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발표에 따르면 2014년부터 올해까지 남의 자소서를 베꼈다가 최종 불합격 처리된 학생 수가 5000명이 넘는다. 윤상철 한신대 교수(사회학)는 “익명일지라도 자신의 이야기를 불특정 다수에게 보여주는 것이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라며 “자소서가 본연의 역할을 못하고 마치 정답이 있는 시험처럼 여겨지는 탓에 남에게 알려주거나 베끼는데 거리낌이 없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렇게 공유된 자소서는 ‘자소설’의 토대가 되기도 한다. 쉽사리 답하기 어려운 문항들은 특히 더 그렇다. 올초 한 취업포털이 구직자 4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복수응답)에서 구직자들은 ‘지원동기’(45.2%), ‘어려움을 극복한 경험’(33.1%), ‘성격의 장단점’(28.7%), ‘입사 후 포부’(26.1%) 등 문항에서 자소설을 썼다.

이런 상황은 기업들도 이미 잘 알고 있다. 무턱대고 베꼈다가는 큰 코 다칠 수 있다는 얘기다. ‘합격 자소서 믿지마라’란 책을 쓴 김태성 전 CJ그룹 신입공채 총괄팀장은 “채용 때 시중에 떠도는 ‘합격 자소서’들을 모아 출력해 심사관들에게 나눠준다”며 “비슷한 구조나 내용이 있으면 떨어뜨리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자신의 경험을 투박하더라도 솔직하게 쓰는 것이 먹혀들 확률이 훨씬 높다”고 덧붙였다.

이창수 기자 winteroc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