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정치, 카슈끄지 사건으로 지각변동 '터키의 승리?'

박종원 2018. 10. 19. 15: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오른쪽)이 17일(현지시간) 수도 앙카라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악수하고 있다.EPA연합뉴스

중동 국가들의 권력 구조가 이달 터키에서 발생한 사우디아라비아 반체제 언론인 실종 이후 새롭게 뒤바뀌고 있다. 올해 초만 해도 미국·이스라엘과 손잡고 이란을 견제하던 사우디는 '야만국가'로 낙인 찍혔고 사우디와 중동 패권을 다투던 터키는 실종사건을 공개적으로 수사하면서 독재국 이미지 개선 성공, 이란과 함께 국제사회의 압박에서 벗어나게 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지난 2일 이스탄불 터키 영사관에서 실종된 자말 카슈끄지가 죽었냐는 질문에 "분명히 그런 것 같다"고 말했다. 자신의 중동전략과 무기 판매 때문에 꾸준히 사우디를 옹호하던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에 대해 "매우 가혹한" 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

■터키·이란은 전회위복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같은날 보도에서 이번 사건의 최대 수혜자로 터키를 꼽았다. 개헌과 쿠데타를 거치면서 독재적인 권력기반을 닦아온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지난 6월 대선에서 승리하면서 2033년까지 집권하게 됐지만 국제 사회의 비난에 시달려야 했다. 그는 특히 2016년 쿠데타 진압 이후 2년간 비상사태를 유지하며 각종 인권 탄압을 저질렀다는 의혹을 받고 있으며 미국인 목사 앤드류 브런슨을 구금하면서 미국의 경제제재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터키 정부는 이번 사건으로 사우디의 야만적인 음모를 파헤친 '정의의 수호자'로 행세했다. 터키 대통령 대변인은 카슈끄지 실종 다음날에 외신 기자들과 만나 카슈끄지가 아직 영사관 안에 있다고 귀띔했다. 현지 경찰은 사흘 뒤 다시 외신과 접촉해 카슈끄지가 사우디 암살단에게 살해됐다는 정보를 흘렸다. 이어 터키 언론들은 17일 카슈끄지가 살해당한 녹취 기록을 입수했다고 보도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사우디 사건이 국제적인 파장을 일으키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그는 사건 때문에 터키를 찾아온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만나 수사 협조를 약속하고 경제제재를 일부 해제한다는 미국의 약속도 받아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이달 연설에서 "이슬람 세계를 이끌 유일한 국가는 터키뿐이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사우디의 앙숙이면서 예멘 내전 개입, 핵개발 등으로 사우디와 미국 모두에게 압박받던 이란은 카슈끄지 사건으로 한숨 돌리게 됐다.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의 중동전문가 에밀 호카옘은 WSJ를 통해 "지금은 사우디가 불리한 상황"이라며 "사우디는 지금 자본을 국내외 다른 목표 달성보다 이번 사건 회복에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뒤늦게 수습 나선 사우디
국제사회의 예상치 못한 강경 반응에 놀란 사우디는 일단 사건 수습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사우디 증시는 트럼프가 사우디 제재 가능성을 시사하자 다음날인 14일 폭락했으며 세계 주요 경제 인사들은 오는 23일 개막 예정인 사우디 국제회의 '미래 투자 이니셔티브(FII)'에 잇따라 불참을 선언했다.

뉴욕타임스(NYT)는 18일 관계자를 인용해 사우디의 실세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자신의 최측근인 아메드 알 아씨리 공군 소장을 카슈지끄 사건의 범인으로 지목했다고 전했다. 실종 이후 줄곧 결백을 주장하던 사우디 정부는 미국 등의 압박으로 인해 내사에 착수해 이미 용의자 4명을 체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NYT에 의하면 사우디 왕실은 아씨리 장군이 빈 살만 왕세자에게서 카슈지끄 체포 및 심문 허가를 받았으나 명령을 오해 혹은 월권행위로 카슈지끄를 죽였다는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다.

WSJ는 만약 사우디가 이번 사건을 무마하더라도 빈 살만 왕세자의 이미지는 이미 회복 불가라고 분석했다. 설사 아씨리 소장이 사건을 주도했더라도 빈 살만 왕세자의 명령이 있었다는 점은 여전히 분명하기 때문이다. 특히 미 정가에서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사우디에 대한 무기 수출 금지 등 제재 주장이 나오고 있다.

아울러 줄곧 무기 판매와 중동 전략때문에 사우디를 옹호하던 트럼프 정부 역시 곤란한 상황에 빠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단 국내외 여론을 의식해 카슈끄지 사망을 인정했지만 구체적인 후속 대책은 언급하지 않았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18일 발표에서 다른 서방 장관들과 같이 FII에 불참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카슈지끄 사건은 이스라엘에도 막대한 후폭풍을 안겼다. 대니얼 사피로 전 이스라엘 주재 미국 대사는 "빈 살만 왕세자가 이란에 대한 공동 전선을 거의 와해시켰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스라엘 입장에서는 미국의 비호 아래 사우디를 비롯한 이슬람 수니파 국가들과 손잡고 시아파 이란과 맞선다는 전략이 크게 손상됐다"고 평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