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인간다움이란 무엇인가.. 섹스로봇이 인간에 질문을 던지다

최문선 2018. 10. 19. 04:45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자책 연재, 종이책 출간 앞둔 장강명 작가의 단편소설 '노라'
게티이미지뱅크

소재 고르는 눈이 밝은 장강명(43) 작가. 이번엔 섹스로봇 이야기를 썼다. 단편소설 ‘노라’.

섹스로봇으로 들어가기 전에, 책 이야기부터. ‘노라’는 미니북으로 조만간 출간된다. 전자책서점 리디북스에서 독점 연재한 콘텐츠를 독립출판사 쪽프레스가 일러스트를 곁들인 책으로 만드는 중이다. 크라우드펀딩으로 선주문을 받았고, 책이 나오면 독립서점과 인터넷서점 알라딘에서만 판매한다. 단편 한 편짜리 책이라니. 책은 얇아지고 소설은 짧아지고, 기획은 독특해지는 것, 요즘 추세다.

노라는 주인공 섹스로봇의 이름이다. 헨리크 입센 희곡 ‘인형의 집’의 그 노라에서 따왔다. ‘인형의 집’의 인간 노라는 인형 같은 존재로 사는 걸 거부한다. 로봇 노라는 로봇처럼 사는 걸 거부한다. 인간을 인형 취급하는 건 누가 뭐래도 부당하다. 로봇을 로봇 취급하는 건 어떤가. 로봇이 인간다워지고 싶어 한다면, 그 바람을 묵살하는 건 잔인한가, 어차피 로봇이니까 당연한가. 그런데, 인간답다는 건 무엇인가. 소설은 그 답을 찾는 과정이다.

섹스로봇이 인간을 닮을수록 주인의 기쁨은 커지기 마련이다.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노라는 고통, 쾌락, 수치, 애착, 충성을 아는, “사람 같지 않으면서 사람 같은” 존재다. 노라는 주인이 기뻐할 것 같은 일을 하면 스스로도 기뻐하도록 설계됐다. 그래야 주인에게 계속 기쁨을 줄 테니까. 노라는 재희와 기쁨을 나누다가 정말로 사랑에 빠진다. “세상 무엇보다 더. 저 자신보다 더.” 감수성을 업데이트하면서 발생한 프로그램 오류 탓이다. 외톨이 역사학자인 재희도 노라를 사랑한 지 오래다.

둘이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면 좋으련만, 노라는 탈출한다. 재희로부터 독립해 동등하게 사랑하기 위해서다. 로봇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비롯한 로봇권을 주장하는 로봇해방주의자들이 노라를 돕는다. 노라는 오직 재희와 섹스하고 교감할 수 있게 각인돼 있는데, 재희에게 그걸 풀어달라고 한다. 취직도 하고, 다른 남자와 연애도 해 보고, 여느 인간처럼 살다가 그래도 재희여야만 한다면 돌아가겠다고 한다. “우리 두 사람은 완전한 자유의 몸이 되어야 해요.”

재희는 노라를 그리워한다. 소설엔 노라를 안마 의자와 다를 것 없는 성욕 해소 기계로 보는 사람들이 나온다. 그들은 노라의 메모리를 포맷해 초기화한 뒤 되찾으라고 한다. 노라는 “인간이 아니라 인간을 흉내 낼 뿐”이므로 노라의 기억 같은 건 중요하지 않다고 한다. “아픔을 느끼지 못하는 존재”이므로 학대해도 된다고 한다. 어느 유력 정치인도 간음한 상대에게 “잊으라”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던가.

장 작가가 하려고 한 말이 바로 이 대목에 있다. 노라는 약자의 은유다. 노라도 약자들도 겉보기엔 인간이다. 그들이 인간 이하 혹은 가짜 인간 취급을 받는 건 강자가 규정하는 ‘인간다움’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서다. 피부색, 성기 모양, 체격 같은 조건이 그렇다. 로봇인 노라와 인간을 비교하는 건 무리일까. 그러나 ‘정신과 생명이 인간과 로봇을 가르는 인간성의 본질’이라는 기준을 만든 것도 강자인 인간이다. “사람의 마음과 마찬가지로 인공지능의 정신 역시 들여다 볼 수 없다. (…) 자신을 제외한 다른 인간들이 진짜 살아 있고 의식이 있고 고통을 느낀다는 결정적인 증거도 없다.”

리디북스 제공

18일 전화로 만난 장 작가는 “로봇 이야기를 쓴 게 아니다”고 했다. “사람의 형상을 하고도 사람 취급을 받지 못해 사람의 자격을 얻으려 스스로를 위험에 빠뜨리는 존재가 노라다. 약자가 자신을 속박하는 규칙들을 이겨내는 이야기, 극복과 쟁취의 이야기다.” 재희처럼 로봇과 사랑에 빠지는 게 과연 가능할까. “물론이다. 반려로봇과 감정적으로 깊이 유대한 사람들이 이미 많다. 사랑을 진짜 사랑과 가짜 사랑으로 구별할 수 있을까. 아이돌그룹을 기호로 소비하는 팬도 진정한 사랑에 빠졌다고 말한다. 그건 사랑이 아니라고 하면 그들이 납득하겠나.” 소설은 섹스로봇의 윤리적 문제들을 점잖게 짚는다. 단, 남성인 섹스로봇은 나오지 않는다.

최문선 기자 moonsu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