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는 돌아왔지만..DNA 확인, 가족 품까지는 여전히 '먼 길'
허진 입력 2018. 10. 1. 20:47
[앵커]
이렇게 국군 유해가 68년 만에 돌아왔지만 그 유해가 누구인지를 밝혀서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는 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더 필요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어쩌면 일부는 끝까지 무명용사로 남을 수도 있습니다.
허진 기자입니다.
[기자]
[기자]
국군 유해가 68년 만에 돌아왔지만 곧바로 가족과 만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확보된 유해에서 유전자 정보, 즉 DNA를 추출하게 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땅 속에 묻혀 있어 오염된 뼈의 불순물을 먼저 제거합니다.
그런 뒤 뼈를 빻아서 가루를 만들고 숙성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에만 최소 1개월 이상 걸립니다.
문제는 전사자 식별 과정입니다.
6·25 전쟁에 참전했지만 미수습된 국군의 유해는 13만 3000여 구에 달합니다.
하지만 우리 정부가 미수습자의 가족으로부터 확보한 DNA는 3만 4000여개, 25.6%에 불과합니다.
대조할 DNA가 확보되지 않은 유해의 경우 이름을 찾지 못한 채 무명용사로 계속 남게 될 수도 있습니다.
국방부는 한 명이라도 더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현재 10명인 유가족 찾기 담당 인원을, 내년엔 40명까지 늘릴 예정입니다.
(영상디자인 : 유정배)
Copyrightsⓒ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JTBC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국군의 날 '초대형 초코파이·군대리아' 등장..시선강탈 문 대통령, 유엔군 참전용사 등 청와대 초청..평화 위한 헌신에 사의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6·25 유해 64위, 68년 만 귀환 문 대통령 "아무도 가지않은 길 가고 있어..힘 있어야 평화 지속" 문 대통령, 68년 만에 조국 찾은 6·25 전사자에 거수경례
- 오늘부터 '수술실 CCTV' 의무화…환자·보호자 원하면 촬영
- 사령관 지시 어겼다더니 "진실하게 수사했다"…통화 녹취선 '항명'과 배치
- 자립준비청년 20%는 '연락두절'…"복지 사각지대 우려"
- 항저우 AG 남자축구 바레인전 3대0 완승…이한범·백승호·고영준 '골'
- 북한, 윤 대통령 '북러 경고' 유엔총회 연설에 "히스테리적 망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