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녘서 이역만리서 잠 못 든 넋..국군 유해 64구 '귀향'
[앵커]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국군 유해 64구가 68년 만에 돌아왔습니다. 이 유해들은 북한에 40년 넘게 묻혀 있었고, 미군 유해와 뒤섞여 발굴된 이후에는 하와이에서 또다시 10여 년을 기다렸습니다.
[기자]
미군 의장대가 하늘색 유엔기로 덮인 유해를 들고 옵니다.
우리 군은 이 유해를 태극기로 다시 감싸 수송기에 실었습니다.
1996년부터 2005년까지 북·미가 함께 발굴해 미국 하와이로 옮겨갔던 유해입니다.
미군 유해로 알았던 상자 속에서 우리 군 유해 64구가 발견되면서 이번에 송환이 결정됐습니다.
유해를 실은 수송기는 조심스런 비행 끝에 하와이를 출발한 지 사흘 만에 우리 영공에 도착했습니다.
68년 만에 돌아오는 선배 전우들의 유해는 F-15K 전투기 편대가 호위했습니다.
[F-15K 조종사 (어제 오후) : 오랜 시간 먼 길 거쳐 오시느라 대단히 수고하셨습니다. 지금부터 대한민국 공군이 안전하게 호위하겠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고국에 돌아온 유해를 거수경례로 맞이했습니다.
[전사자께 대하여 받들어총!]
거동이 불편한 참전 용사들이 후배의 부축을 받으며 전우의 유해에 헌화할 때는 무명용사의 돌무덤을 배경으로 탄생한 가곡 '비목'이 연주됐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름도 없이 '호국용사의 영'이라고 적힌 64구의 유해에 일일이 6·25 참전기장을 수여하고 묵념했습니다.
조총은 21발이 발사됐고, 봉송 버스 안에서 다시 한 번 거수경례를 받은 유해는 국립현충원 옆 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으로 옮겨졌습니다.
Copyright©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문 대통령 "평화는 단번에 안 와..군이 한반도 평화 맨앞에 서야"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6·25 유해 64위, 68년 만 귀환 문 대통령, 68년 만에 조국 찾은 6·25 전사자에 거수경례 하와이로 간 국군 유해 64구..60여년 만에 조국 품으로
- 우리 군 최초 정찰위성 발사 성공…북 도발징후 독자 감시
- 대통령실, 이동관 후임 인선 착수…이상인·이진숙 등 거론
- "잊지 않을 것"…'제주 화재' 순직 고 임성철 소방장 조문 이어져
- '3년 연속' 법정처리 시한 넘긴 예산안…여야는 '네 탓' 공방
- "캄보디아 투자하면 떼돈"…920억 부동산 사기 부총책 송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