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파 군불 땔감으로 아궁이서 사라질 뻔 했던 보물 '겸재화첩'
“… 사랑채 한쪽에 붙은 변소엘 가다 보니까 머슴이 군불을 때고 있는데 무슨 문서 뭉치를 마구 아궁이에 처넣고 있단 말이에요. 그런데 문득 들여다보니 초록색 비단으로 귀중하게 꾸민 책이 하나가 눈에 띄었어요. 아마 무식한 머슴이 군불 땔감으로 휴지며 뭉치를 안고 나올 때 잘못 섞여 나온 거겠지요. 나는 반사적으로 그 책을 보자고 했지요. 그리고 펼쳐보니 겸재 정선의 화첩이란 말이에요. 내가 그 시각에 변소엘 가지 않았거나 한 발짝만 늦었어도 그 화첩은 아궁이 속으로 불타서 영원히 사라졌을 테지요.”
골동상 장형수가 1933년에 친일파 송병준의 집에서 겪은 일이다. 장형수는 겸재화첩을 송병준의 손자에게서 사서 전형필의 서화 수집창구 역할을 하던 한남서림의 이순황에게 보여 주었고 이순황은 전형필이 수장하도록 중개했다. 겸재화첩은 현재 간송미술관에 전하고 있는 보물 제1949호 ‘해악전신첩’(海岳傳神帖)이다. 이 일화는 친일파들이 얼마나 부유했고 또 많은 미술품을 가지고 있었는가를 보여준다. 한편으로는 근대기에 소중한 미술품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고 문화재에 대한 인식도 부족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근대의 화가이자 미술평론가인 김용준(1904∼1967)의 개탄에서도 비슷한 시대상을 읽을 수 있다. 그는 “신사조에 대한 갈망은 날이 갈수록 높아져서…가가호호 전래의 진귀한 책과 기이한 보배는 휴지값, 개값으로 팔아 치우고 하는가 하면”이라며 새로운 것에의 관심이 커질수록 과거의 것들을 돌보지 않게 된 세태를 꼬집었다.
정선의 단발령망금강 정선의 ‘해악전신첩’에실린 ‘단발령망금강’(斷髮嶺望金剛). 친일파 송병준의 집에서 불쏘시개가 될 뻔했던 해악전신첩의 사연은 일제강점기 문화재에 대한 우리의 인식 수준을 실감케 한다. |
◆60여년 만에 북한의 국보로 재등장한 금강산연적
평안북도 영변에서 태어난 함석태(1889∼?)는 일본 유학 후 조선총독부 치과의사면허 제1호로 등록되었다. 서울시 중구 삼각동에 개업한 함석태는 한국인 최초의 치과의사라는 명예로운 기록 외에 ‘소물진품대왕’(小物珍品大王)이라는 평을 들을 정도로 많은 고미술품을 소장하였다. 그러나 함석태의 소장품 가운데 사진으로나마 전해지는 것은 ‘조선고적도보’(1935)의 도자기 15점, ‘조선명보전람회도록’(1938)에 수록된 회화 4점에 불과하다. 근현대 격동의 시기를 거치면서 많은 수장가의 소장품들이 그 소재조차 알 수 없게 된 경우가 많은데 함석태의 소장품 역시 비극적인 운명을 맞게 된 것이다.
금강산 모형 연적 한국 최초의 치과의사 함석태가 가장 아꼈던 ‘금강산연적’은 해방 직전 사라져 행방을 알 수 없다가 2006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된 ‘북녘의 문화유산-평양에서 온 국보들’에 ‘진홍백자금강산모양연적’이란 이름으로 출품되었다. |
◆목숨 걸고 모은 문화재 일시에 흩어지기도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수장가들은 일본인들과 재력 면에서 차이가 컸기 때문에 값비싼 물건은 살 엄두를 내지 못했지만, 장택상과 전형필은 일본인에 맞서 귀한 물건을 많이 수집했다. 장택상은 특히 “도자기 수집의 권위”로 유명했다. 그러나 장택상의 수장품은 대부분 없어지고 말았다. 6·25전쟁으로 인해 그의 경기도 시흥, 노량진에 있던 별장이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시흥에서 벌어진 전투로 그의 별장에 보관했던 숱한 유물이 사라졌으며, 노량진 별장에 둔 많은 미술품도 직격탄을 맞아 모두 파괴되고 말았다. 장택상의 남은 수장품은 그가 이승만과 맞서기 위한 활동에 나서면서 정치자금 마련을 위해 처분하는 바람에 곳곳으로 흩어졌다.
경성제국대학 교수를 지낸 일본의 동양철학자 후지쓰카 지카시(1879∼1948)는 추사 김정희를 청나라 고증학의 완성자로 높이 평가했다. 김정희의 대표작 ‘세한도’는 당시 휘문고등학교 설립자인 민영휘가 소장하다가 그의 아들 민규식을 거쳐 후지쓰카가 갖게 되었다. 후지쓰카는 세한도를 1940년에 교직을 그만두고 도쿄로 돌아갈 적에 가져갔는데, 이 사실을 추사 작품 수집가로도 유명한 서예가 손재형(1903∼1981)이 뒤늦게 알게 되었다. 손재형은 미군 공습이 한창인 도쿄에 가서 생면부지 후지쓰카에게 세한도 양도를 요청했다. 후지쓰카는 한사코 거절했지만 두 달간 매일 문안인사 드리며 부탁하는 손재형의 정성에 감복하였다. 마침내 후지쓰카는 손재형이 세한도를 간직할 ‘자격’이 있다며 건네주었다. 손재형이 세한도를 인수한 지 석 달 뒤인 1945년 3월 10일, 후지쓰카의 연구실은 공습을 받아 많은 서적과 서화가 불타고 말았다. 손재형의 노력에 의해 세한도는 기적적으로 살아남게 된 것이다.
세한도 추사 김정희의 대표작인 ‘세한도’는 손재형이 목숨을 걸고 일본에서 가져온 작품이다. |
◆문화재 유출 막은 수장가들의 공로 기억해야
골동가에서 “골동이란 바람기 있는 기생 같은 것”이라는 말을 쓰곤 한다. 골동은 태생적으로 돈에 휘둘리기에 머무를 곳을 알기 힘들다는 의미이다. 결국 골동의 운명은 어떤 주인을 만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는 정도로 이해하면 될 듯하다. 고미술품의 수장에 대하여 부정적 느낌을 주는 이와 같은 표현이 사용된 원인은 우리나라 근대 이후의 골동품 수장과 거래가 도굴·밀매·밀반출·위조 등으로 점철된 탓이 크다. 그렇지만 미술품과 미술시장 그리고 수장가들에게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미술품은 민족의 문화역량과 미의식의 총화이고 미술시장은 미술품이 유통되는 장이기 때문이다. 한편 온갖 역경을 극복하고 재산을 기울여 문화재를 지켜낸 수장가들의 노력 역시 길이 조명될 가치가 있음은 물론이다.
김상엽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조사활용2팀장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만하십시오, 딸과 3살 차이밖에 안납니다”…공군서 또 성폭력 의혹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북한과 전쟁 나면 참전하겠습니까?”…국민 대답은? [수민이가 궁금해요]
- 박지윤 최동석 향한 이혼변호사의 일침…"정신 차리세요"
- “이 나이에 부끄럽지만” 중년 배우, 언론에 편지…내용 보니 ‘뭉클’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식대 8만원이래서 축의금 10만원 냈는데 뭐가 잘못됐나요?” [일상톡톡 플러스]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