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평양성과 대동강 그린 18세기 병풍, 보물 됐다

2018. 8. 21. 09: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8세기 후반 평양성과 대동강 모습을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평양성도 병풍이 보물이 됐다.

문화재청은 현존 최고(最古) 평양성도로 꼽히는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송암미술관 소장 '평양성도 병풍'과 '포항 보경사 비로자나불도'를 각각 보물로 지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포항 보경사 비로자나불도도 보물 지정
보물로 지정된 '평양성도 병풍' [문화재청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18세기 후반 평양성과 대동강 모습을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평양성도 병풍이 보물이 됐다.

문화재청은 현존 최고(最古) 평양성도로 꼽히는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송암미술관 소장 '평양성도 병풍'과 '포항 보경사 비로자나불도'를 각각 보물로 지정했다고 21일 밝혔다.

평양성도 병풍은 '서경'(西京)으로 불린 평양 모습을 가로 4m에 이르는 8폭 화면에 집약적으로 그린 전도식(全圖式) 읍성도(邑城圖). 전도식 읍성도가 보물로 지정되기는 국립전주박물관 소장 '완산부지도'에 이어 두 번째다.

조선시대에 평양은 자원이 풍부하고 많은 예술가를 배출한 한강 이북 중요 도시였고, 도시 풍경을 소재로 한 읍성도가 많이 만들어졌다.

송암미술관 평양성도 병풍은 도시 전경을 오른쪽으로 비스듬하게 배치하고, 화면 위에는 도시를 둘러싼 산 능선을 그렸다. 아래쪽에는 평양을 에워싸며 흐르는 대동강과 양각도(羊角島), 능라도(綾羅島)를 묘사했다.

병풍 1∼2폭은 영명사와 부벽루, 2∼5폭은 평양 시가지, 3∼6폭은 서원과 첨성대, 6∼8폭은 제례 장소를 각각 화폭에 담았다.

평양성도 병풍에 묘사된 애련당. [문화재청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문화재청은 그림 제작 시기를 18세기 후반으로 보는 근거로 건축물과 화법을 제시했다.

이 그림에는 1804년 화재로 사라졌다가 1890년 중건된 대동강 주변 정자인 애련당(愛蓮堂)과 장대(將臺·장수가 군사를 지휘하도록 돌로 쌓은 대)가 있다.

아울러 19세기에 유행한 밝고 짙은 청색 대신 녹색 위주로 처리한 방식, 명암이 거의 없는 건물 묘사와 인물을 표현하지 않은 예스러운 기법이 특징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평양 모습을 감각적으로 표현하고, 주요 관청과 명승지 부근에 한자로 명칭을 써서 실재감이 느껴진다"며 "규모와 제작 시기, 예술적 완성도, 역사성 측면에서 가치가 있고 회화사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보물로 지정된 '포항 보경사 비로자나불도'. [문화재청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포항 보경사 비로자나불도는 영조 18년(1742) 경상도에서 주로 활동한 승려화가 세 명이 왕실 안녕을 기원하며 그린 불화다.

높이 3m에 가까운 삼베 바탕에 붉은 물감을 칠한 뒤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문수보살, 보현보살, 사천왕상을 그렸다.

큰 광명을 내비쳐 중생을 제도하는 부처인 비로자나불을 단독 주존불로 배치한 불화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으로, 섬세한 필선(筆線)과 아기자기하게 배치된 장식 문양이 특징이다.

psh59@yna.co.kr

☞ "미국놈 내보내야" 北조카 한마디에 이산상봉장 '어색'
☞ 폭염에 창문닫고 에어컨 튼 장어집 '날벼락'…주인 입건
☞ 23명 사망한 관광버스에 마약 탐지견 투입했더니…
☞ 미국서 산책 여성, 악어에 물려 숨져…애완견은 무사
☞ "삼성이 완성차 다시 만든다?"…공식 입장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