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1948년 건국" vs 문재인 "1919년 건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73주년 광복절을 앞에 두고 또다시 건국절 논쟁에 불이 붙었다.
이념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정치권은 광복절을 전후해 건국절 논쟁에 불을 지펴왔다.
이 같은 논란에 대해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제72주년 광복절 기념식 경축사에서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해"라며 1919년을 건국일로 규정한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건국절 논란과 관련해선 대한민국의 건국 시점을 상해 임시정부 수립일인 1919년 4월13일로 봐야한다는 진보진영의 입장과 이승만 정부가 출범한 1948년 8월15일을 건국일로 봐야 한다는 보수진영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진보진영은 지금까지 우리 헌법이 상해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이때가 대한민국의 건국절이라는 주장이다.
보수진영은 생각이 다르다. 보수진영은 국가의 3요소인 국민과 영토, 주권을 모두 갖춘 현대국가의 모습인 이승만 전 대통령의 정부수립을 건국으로 보고 있다.
◆문재인 “1919년 건국” vs 박근혜 “1948년 건국”
이념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정치권은 광복절을 전후해 건국절 논쟁에 불을 지펴왔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지난 2016년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광복 71주년, 건국 68주년”을 언급해 1948년 건국 주장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이 같은 논란에 대해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제72주년 광복절 기념식 경축사에서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해”라며 1919년을 건국일로 규정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김대중 정부나 노무현 정부도 1948년 건국을 당연시해서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원내대표단-상임위원장 간사단 연석회의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도 58주년 광복절 경축사와 62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1948년을 건국의 해로 밝혔다”고 말해 논쟁에 불을 지폈다.
더불어민주당은 헌법 전문에 3·1 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하고 있다는 점을 들면서 1919년을 건국일로 봐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은지원, 숨겨진 가정사 고백 “아버지 살아생전 겸상도 안 했다”
- “밤에 2번 이상 깨면 위험 신호?…‘이것’ 때문이었다”
- 18만원이 없어서 군대 면제받았는데 지금은 연 55억 버는 男배우
- 13년 만에 밝힌 진실…오정연·서장훈이 직접 공개한 두 사람의 이혼 사유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