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1조원 규모' 대전역세권 개발 본격 시동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레일은 18일 오후 옛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대전시·동구청·중구청 및 지역상인회와 함께 대전역세권 개발을 위한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의 핵심인 대전역 복합2구역을 대상으로 한다.
코레일과 지자체, 지역상인회는 지역상권 활성화와 대전의 균형 발전을 위해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 개발에도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은 사업비가 총 1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개발사업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진희정 기자 = 코레일은 18일 오후 옛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대전시·동구청·중구청 및 지역상인회와 함께 대전역세권 개발을 위한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의 핵심인 대전역 복합2구역을 대상으로 한다. 앞서 대전시는 총 88만7000㎡의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지구 중심에 위치한 대전역 복합구역(약 22만㎡)을 1, 2, 3구역으로 나눠 사업성을 높였다.
대동천 인근에 위치한 대전역 복합1구역은 조합이 설립돼 공동주택 등 재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고, 대전역 선로 위에 지정된 복합3구역은 향후 판매시설과 역무시설이 예정돼 있다.
코레일과 지자체, 지역상인회는 지역상권 활성화와 대전의 균형 발전을 위해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 개발에도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코레일은 대전역세권 재정비와 상생협력 계획에 대해 협의하고 연말까지 사업자를 공모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상생협력계획을 총괄하고 동구청과 중구청은 판매시설 개설 및 등록 등 행정절차를 맡는다. 상인회는 점포 개설 등 영업활동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은 사업비가 총 1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개발사업이다. 2구역 면적 중 개발을 추진하는 상업부지는 3만2444㎡이고 이중 코레일 소유는 2만7740㎡로 약 86%에 달한다. 상업부지에는 판매·업무·문화 등의 복합시설이 계획돼 있다. 50여층 규모의 랜드마크 빌딩도 세울 수 있다.
특히 대전역에는 이르면 2021년 택시와 시내버스, 세종∼대전 간 광역간선급행버스(BRT) 승강장이 포함된 복합 환승센터가 들어선다. KTX·무궁화호 등 철도나 지하철과 연계 환승할 수 있어 도심 교통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격적인 사업개발과 함께 대전역 일대는 지역의 숙원사업인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오영식 코레일 사장은 "그동안 낙후됐던 대전역 일대 원도심이 대전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다시 태어날 것"이라며 "지자체, 지역상권과 상생협력을 통해 대전지역 균형발전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hj_jin@news1.kr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