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승무원들의 눈물..12년 삶 앗아간 한 번의 판결
[뉴스데스크] ◀ 앵커 ▶
또 KTX 승무원 해고 무효 소송, 그 판결 과정에서 양승태 대법원은 박근혜 정부와 긴밀히 협조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당시 대법원은 1, 2심을 뒤집고 해고가 정당하다고 판시했죠.
승무원들은 지금도 투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지선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서울역 앞에 다시 천막을 펼쳤습니다.
12년의 긴 시간동안 거리를 지키고 있지만 모든 건 아직도 제자리입니다.
[김승하/전 KTX 승무원]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이 상황에 저희가 처해있다는 게 너무 힘들고."
삭발, 단식농성, 철탑농성, 오체투지까지.
'코레일의 직원'이라는 단순한 사실을 인정받기 위해 안 해본 게 없습니다.
법은 마지막 의지였고, 실제 1심과 2심은 이들의 기대를 배반하지 않았습니다.
[1심 선고 당시 (2010년 8월)] "우리 이겼어. 우리 철도공사 직원 맞고, 복직할 때까지 월급도 지급하라고 판결났다."
기쁨은 대법원에 의해 산산이 부서졌습니다.
"KTX 승무원은 코레일 소속 열차팀장과 업무가 구분돼 있어 코레일 직원으로 볼 수 없다"며 기존 판결을 뒤집은 겁니다.
[김승하/전 KTX 승무원] "모든 증거를 다 무시하고 언급조차 안 하고 그렇게 판결을 내린 거예요. 받아들일 수가 없었어요. 이게 정말 진실일까?"
이 판결로 승무원들은 1심 승소 이후 코레일에서 지급받은 4년치 임금에 이자까지 더해 1억 원 씩 물어내야 하는 처지에 내몰렸고, 어느 해고 승무원은 "세 살 아이에게 빚만 남겨 미안하다"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그리고 3년 만에, 당시 판결이 권력의 입맛에 맞춘 거였다고 대법원 스스로 인정하는 내용이 담긴 문건이 공개된 겁니다.
"사법부마저 우리가 정말 믿을 수 없는 곳에 살고 있구나. 이런 세상에 우리가 살았었구나."
한 승무원이 절망으로 목숨을 끊은 지 1167일, KTX 승무원 208명이 해고된 지 4469일만입니다.
MBC뉴스 이지선입니다.
이지선 기자 (ezsun@mbc.co.kr)
[저작권자(c) MBC (www.imnews.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북미 회담 성공 위해 협력"..남북 정상 재확인
- 김정은 요청으로 정상회담 성사..북미회담 의지 표명?
- "남북 만날 수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 이미 예고?
- 전용차 아닌 은색 벤츠로..철통 보안 속 '깜짝' 정상회담
- 회담 장소는 북측 '통일각'..문 대통령의 답방?
- 남북 두 정상 나눈 말 속엔 "약속·책임·노력"
- 中 북미정상회담 재추진 환영했지만..복잡해진 셈법
- [날씨] 내일도 구름 사이 강한 볕..낮 더위 계속
- [스트레이트 예고] 33년 전 은폐된 죽음, 그리고 전두환
- [선택2018, 판세톡톡] "일삼아~" 지방선거, 마음이 부르는 사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