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볼턴 세워놓고 훈계..시진핑엔 "지켜볼 것"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이렇게 북한을 달래는 것 같은 모습을 보이면서 북한이 비난했던 볼턴 보좌관을 자신의 뒤에 세워 뒀습니다. 사실상 훈계하는 모습을 보인 거라는 분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북한이 태도를 갑자기 바꾼 배경으로는 중국을 지목했습니다.
이어서 워싱턴 손석민 특파원입니다.
<기자>
트럼프 대통령과 나토 사무총장이 면담하는 자리 뒤로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의 모습이 보입니다. 두 손을 모으고 대통령의 말을 경청했는데 북한 문제가 언급되자 눈썹 사이를 잔뜩 찌푸립니다.
[트럼프/美 대통령 : 우리는 지금 북한과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리비아 방식을 부인하면서 북한이 실명으로 비판한 볼턴 보좌관에게 더 나서지 말라는 신호를 보낸 겁니다.
그러면서도 볼턴을 완전히 내치지는 않았습니다.
[트럼프/美 대통령 : 볼턴이 언급한 것은 북한의 핵 폐기가 사달이 났을 경우를 이야기한 겁니다.]
합의가 안 되면 북한에 리비아식 결과가 일어날 거라는 으름장도 볼턴에게 역할을 남겨둔 거라는 해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갑작스러운 태도 변화와 관련해서는 북중 밀착, 특히 이달 초 다롄 북중 정상회담을 배경으로 꼽았습니다. 시진핑 주석의 조언 가능성도 제기했습니다.
[트럼프/美 대통령 : 다롄 정상회담은 조금 놀라웠습니다. 시진핑 주석이 김 위원장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지켜볼 일입니다.]
그동안 무역적자를 방치해 중국의 버릇이 나빠졌다는 말도 곁들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끼어드는 중국에 대한 경고의 성격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박정삼)
손석민 기자hermes@sbs.co.kr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북미회담 개최지 싱가포르, 테러 발생하면 보도·통신 차단
- 청와대, NSC 상임위 개최..북미 '상호 존중' 촉구
- 北, 김계관 '북미 정상회담 재고' 담화 내부에 공개 안 한 까닭
- 백악관 "북미 정상회담 준비 계속할 것, 우리 측 입장 변화 없어"
- 북미 간 미묘한 갈등 속 '풍계리 폐기' 변수 생길까
- "엄마 죄송해요 조국이 나를 불러요"..광주 학생들의 그 날
- [포토] '전두환 기념비' 밟고 지나가는 이낙연 총리
- "드루킹, '댓글 수사 축소하면 검사님한테 선물 폭탄'"
- "모기 물린 곳에 '이거' 쓰세요"..엄마의 반짝이는 아이디어
- '8년째 활동 중단' 원빈, 세월의 흔적 느껴지지 않는 근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