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잘 모르는 사람일수록 '정치 잘 안다' 착각"(연구)

2018. 4. 23. 10: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치에 대해 아는 게 적은 사람일수록 반대로 정치적 지식에 자신 있어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에 대해 앤슨 조교수는 "실제로 많은 미국인이 자신의 정치적 지식에 극단적으로 과대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자신이 정치의 세계를 거의 모른다는 점을 인지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라면서 "특정 정당을 강하게 지지하는 사람일수록 다른 정당에 관한 올바른 지식이 부족하고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에만 편향돼 있으며 정치적 지식도 얕았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정치 잘 모르는 사람일수록 ‘정치 잘 안다’ 착각”

정치에 대해 아는 게 적은 사람일수록 반대로 정치적 지식에 자신 있어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메릴랜드대 볼티모어캠퍼스의 이언 앤슨 조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미국에 사는 성인남녀 총 260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위와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고 국제정치심리학회(ISPP)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정치심리학’(Political Psychology) 최신호(2일자)에 발표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특정 정당을 강하게 편드는 사람일수록 이런 경향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앤슨 조교수는 “이런 경향이 나타나는 이유는 ‘더닝 크쿠거 효과’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더닝 크루거 효과는 인지 편향의 하나로, 어떤 분야에 능력이 없는 사람이 잘못된 결정을 내려 잘못된 결론에 도달하지만 그 분야에 능력이 없어 자기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또 앤슨 조교수는 “오히려 정치적 지식이 풍부한 사람들은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지난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철 트위터상에서 학자들 사이에서 벌어진 논쟁을 보고 더닝 크루거 효과에 흥미를 느꼈다고 밝혔다. 그는 트위터에서 자칭 정치 전문가들의 의견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자칭 전문가들은 자신의 무지를 전혀 눈치채지도 못한 채 오히려 의기양양하게 무지를 과시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두 차례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참가자들에게 ‘상원의원의 임기는 얼마인지’, ‘현재 에너지부 장관은 누구인지’, ‘건강보험 정책에 보수적인 정당은 어디인지’, ‘현재 하원의원에서 여당은 어디인지’, ‘제시한 4가지 정책 중 예산액이 가장 낮은 것은 무엇인지’와 같은 질문을 하고 이들의 정치적 지식을 평가했다.

그 결과, 참가자 대다수의 성적은 하향 평준화돼 있었고 이 중에서도 특히 성적이 나쁜 사람일수록 자신의 정치적 지식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대해 앤슨 조교수는 “실제로 많은 미국인이 자신의 정치적 지식에 극단적으로 과대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자신이 정치의 세계를 거의 모른다는 점을 인지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라면서 “특정 정당을 강하게 지지하는 사람일수록 다른 정당에 관한 올바른 지식이 부족하고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에만 편향돼 있으며 정치적 지식도 얕았다”고 설명했다.

또 “이 결과는 미국에 정치적 담론이 널리 퍼져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 특정 정당을 열성적으로 지지하는 사람은 자신의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과 대화할 때, 자신은 물론 상대의 정치적 지식을 착각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면서 “즉 열성적인 지지자는 자신이 상대보다 훨씬 정치에 정통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는 우리가 현대 미국 민주주의에서 종종 관찰하는 정치적 담론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물론 이 연구는 다른 모든 연구와 마찬가지로 한계가 있다.

앤슨 조교수는 “이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 환경에서 수행했으므로, 참가자들이 실제로 대화할 때 어떤 일이 벌어질지 평가할 수 없다. 또 참가자들은 같은 지식 퀴즈에 대해 가상 동료들의 점수를 매겼다”면서 “이는 더닝 크루너 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와 비슷하지만 명백하게도 누군가의 정치적 지식을 평가하는 데 매우 인위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우리는 실험실에서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해 정치적 담론과 정치적 자만에 관한 흥미로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gajus / 123RF 스톡 콘텐츠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