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장수서 6세기 가야 지배계급 '마구류' 등 다량 출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라북도 장수의 동촌리 고분군에서 가야 수장층의 무덤임을 알려주는 마구류 등 유물이 다량 출토됐다.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장수군(군수 최용득)과 전주문화유산연구원(원장 유철)이 조사하고 있는 '장수 동촌리 고분군'에서 가야 수장층의 무덤임을 알려주는 재갈 등의 마구류와 토기류 등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고 8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상도서 출토된 재갈과 같아..타 지역 교류 흔적"
(서울=뉴스1) 김아미 기자 = 전라북도 장수의 동촌리 고분군에서 가야 수장층의 무덤임을 알려주는 마구류 등 유물이 다량 출토됐다. 마구(馬具)는 말을 부리기 위해서 말에게 장착했던 각종 장구를 뜻한다.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장수군(군수 최용득)과 전주문화유산연구원(원장 유철)이 조사하고 있는 '장수 동촌리 고분군'에서 가야 수장층의 무덤임을 알려주는 재갈 등의 마구류와 토기류 등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고 8일 밝혔다.
장수 동촌리 고분군은 백두대간의 서쪽에 자리한 가야계 고총고분군(봉분 높이가 높은 고분군)으로 고분 80여 기가 자리하고 있다. 이중에서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발굴조사를 시행한 고분은 30호분으로, 봉분 규모가 남북 17.0m, 동서 20.0m, 잔존높이 2.5m 내외의 타원형 형태다.
봉분 안에는 무덤 주인이 묻힌 돌널무덤 양식의 주곽 1기와 껴묻거리 등을 묻는 부곽 2기가 배치돼 있다. 주곽은 당시의 지표면과 흙 표면을 고른 후 1m 내외의 높이로 흙을 쌓고 다시 되파기해 쌓아 올렸다.
이번에 출토된 유물은 마구류와 각종 토기류이다. 특히, 30호분 주곽에서 확인된 마구류는 재갈, 발걸이, 말띠꾸미개, 말띠고리 등으로 다양하며, 이 중에서도 재갈은 고령 지산동44호분, 합천 옥전M3호분, 함안 도항리22호분, 동래 복천동23호분 등 경상도 지역의 주요 가야 수장층 무덤에서 출토된 바 있는 유물로 이 무덤의 주인공 역시 가야 수장층임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들이라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목긴항아리, 목짧은 항아리, 그릇받침, 뚜껑 등의 토기류도 출토됐다. 출토된 토기들이 백제, 소가야, 대가야의 토기류와 혼재된 양상이어서 고분 축조 집단이 전라북도 지역에서 생활하면서 다른 지역과 교류했던 사실과 생존시 이뤄온 문화 양상 등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는 평가다.
문화재청은 "이번 조사에서 30호분은 고분 축조방법과 출토유물 등을 미뤄볼 때 6세기 전반경의 고분으로 추정하며, 고분의 구조와 성격 등을 알 수 있는 자료가 확인돼 장수지역의 가야 묘제 연구에 있어 중요한 성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발굴조사 성과는 9일 오후 1시 발굴현장 설명회를 통해 일반에 공개된다. 문의 (063)247-8230)
amigo@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