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 Q&A]신장 BUN/cr 수치 높은 이유..단백질 과다 섭취와 운동 부족
김성권 | 서울K내과 원장 2017. 11. 7. 20:59
[경향신문] Q : 50대 중반의 직장인입니다. 건강검진에서 신기능 부전의 지표 중 하나인 ‘BUN/cr’ 비율이 2014년 21.4, 2015년 20.0, 2016년 21.8, 2017년 22.1로 참고치(10.0~20.0)를 계속 벗어나 있습니다. 콩팥(신장)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것일까요? 생활 습관이나 음식, 진료, 추가 검사 등 어떤 대처가 필요한지 알려주십시오.
A : 이 수치로 볼 때 콩팥 기능에는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BUN/cr’ 비율이 참고치를 벗어난 이유는 우선 단백질(고기, 생선, 두부, 콩류 등)을 너무 많이 먹고, 둘째로는 근육량이 적기 때문으로 판단됩니다. BUN은 수분 섭취가 부족할 때도 다소 높게 나타날 수 있지만, 대개 고기를 많이 먹은 뒤 1~2개월 만에 높게 나옵니다. 따라서 단백질 섭취를 좀 줄이고, 운동으로 근육량을 늘리면 ‘BUN/cr’ 수치는 참고치 안으로 들어올 것으로 보입니다.
<김성권 | 서울K내과 원장>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신문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대통령실, 국민임명식에 “이명박·박근혜·김옥숙·이순자···전임 대통령과 배우자 초청”
- 이상민, 퇴임 후에도 행안부 직원 통해 ‘계엄 자료’ 인멸···윤호중 장관 “내부 감찰”
- 주식거래 사진 찍힌 이춘석 “주식 차명거래한 사실 결코 없어”
- [속보]정청래, 이춘석 법사위원장 ‘주식 차명거래 의혹’ 긴급 진상조사 지시
- 필리핀서 1억원 든 가방 택시에 싣자 그대로 도주…친구가 짠 사기극
- [단독]“있어선 안 될 일”…이종섭, 조태용 거쳐 ‘수사기록 이첩’ 윤석열에 보고했다
- [속보]방송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필리버스터 종결 후 민주당 주도 처리
- 정청래 ‘릴레이 예방’ 목록에 국힘은 없었다···“협치보다 내란 척결이 먼저”
- “국힘 해산 100번도 가능하다”는 정청래, 11년 전 통진당 결정 다시 보니
- [속보]이 대통령, 정연주 전 방심위원장 해촉 사건 항소 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