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문제 해결하라"..日, '세계 1억인 서명'에 침묵
<앵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기 위해 일본 대사관 앞에서 벌여 온 정기 수요집회가 오늘(13일)로 1,300회를 맞았습니다. 전세계 1억인 서명운동의 2차분 206만 명의 서명지도 전달했지만 오늘도 일본은 침묵했습니다.
김혜민 기자입니다.
<기자>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커다란 종이상자들이 수북이 쌓였습니다. 일본 군 위안부 문제를 빨리 해결하라는 1억 인 서명운동의 2차분인 155개국, 206만 9천여 명의 서명지가 담겨 있습니다.
2013년부터 시작된 이 서명운동의 1차 서명지 150만 명분은 지난 2014년 유엔 인권이사회에 전달됐습니다.
위안부 할머니들과 시민단체는 오늘 일본 대사관 앞 정기 수요집회 1,300회를 맞아 서명지 2차분을 일본 대사관 측에 전달했습니다.
하지만 건물 경비원이 서명지 인수를 대신했고 일본 대사는 오늘도 얼굴 한 번 비추지 않았습니다.
[이정희/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이사 : (일본 정부는) 1,300번의 외침 앞에서도 계속해서 귀를 막고 진실을 부정하며 피해자들을 고통 속으로 몰아넣었다.]
위안부 할머니들은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는 돈으로 면죄부를 거래한 것이라고 성토했습니다.
[한국정부는 피해자 동의 없는 2015 한일합의를 당장 폐기하고, 피해자 입장에서 조속히 해결하라.]
1992년 시작된 수요집회가 1,300번 계속되는 동안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할머니 239명 중 남아 있는 피해자는 35명 뿐.
참가자들은 일본 정부의 진정성 있는 사과가 있을 때까지 수요집회는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취재 : 신동환, 영상편집 : 이승희)
김혜민 기자khm@sbs.co.kr
저작권자 SBS & SBS Digital News Lab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위안부 피해자 하상숙 할머니 별세..이제 36분뿐
- 日 외무상, 주일한국대사에 "징용·위안부 문제 해결된 것" 주장
- 위안부 피해자 이모 할머니 별세..전국에 35명만 남아
- 이수혁 "위안부 합의, 이병기가 국정원 TF 지휘해 주도"
- 위안부 피해자 추모 '기억의 터' 1년.."잊지 않겠습니다"
- 미궁에 빠진 노인 살인사건..12년 만에 진실 밝힌 단서는?
- 돌아가신 어머니의 억대 빚..가족도 몰랐던 의문의 통화
- '학대 혐의 없음' 발표에 최준희가 남긴 의미심장한 말
- [영상] "애완견 목줄 채워라" 시비..밀쳐진 60대 중태
- [영상] "살아야지"..옥상 난간에 선 학생에 손 뻗은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