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대북 제재 속 北 영양실조 지원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북한 아동의 영양 실조 문제에 대해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틀 내에서 체계적이고 엄밀한 모니터링과 함께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국제기구 및 민간단체와 협력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세션Ⅳ에서 "한국은 북한 영유아 영양실조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파리협정 충실히 이행할 것"
"개발도상국 13개국에 2020년까지 1억 달러 지원"
|
문 대통령은 이날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세션Ⅳ에서 “한국은 북한 영유아 영양실조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경우, 2017년 UN 보고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41%, 특히 5세 미만 아동의 28%가 영양실조 상태”라며 “G20 회원국들의 많은 관심을 당부 드린다”고 호소했다.
이어 “한국은 분단과 한국전쟁으로 대량 난민사태를 겪었던 경험이 있고, 지금도 적지 않은 탈북자가 있다”면서 “이러한 경험과 연대감을 바탕으로 전세계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에 동참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아프리카는 기후 변화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고 있고, 그것이 아프리카를 더욱 빈곤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한국은 전 세계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 의장국이 제안한 ‘아프리카 파트너십’ 구상과 아프리카 연합의 어젠다 2063을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후변화는 아프리카만의 문제는 아니라 모든 국제사회가 함께 대응해야 할 문제”라며 “기후변화 대응은 미래세대를 위한 투자이자 새로운 일자리와 성장 동력을 창출할 기회다. 한국은 파리협정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문 대통령은 “에너지 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꿔 친환경·저탄소 에너지로 대체하는 작업을 이미 시작했다”면서 “새로운 기후체제에 적극 대응해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신종 감염병과 항생제 내성문제 등 글로벌 보건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역할을 높여야 한다”며 “한국은 WHO의 ‘긴급대응기금’에 적극 기여할 예정이다. 개발도상국들을 위해 2020년까지 13개국에 총 1억불을 지원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도 했다.
김영환 (kyh1030@edaily.co.kr)
Copyright©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관용의 軍界一學]ICBM 완성했다는 北, 아직 미완이라는 南
- '핵무기 모두 폐기' 유엔 채택..핵보유국 모두 불참
- 상반기 어떤 차가 잘 팔렸나?..국산·수입 '톱5'
- [클릭! 富동산]경품으로 받은 300만원 상당 TV, 세금 내야 할까?
- "알바도 하고, 연애도 하고"..알바생도 사내연애 한다
- 北 김정은, 김일성 사망 23주기에 금수산태양궁전 참배
- [카드뉴스] "숲속을 걸어요" 7월 추천 걷기 여행길 10선
- '리니지M' 논란에 울고 웃었던 엔씨소프트
- [인생샷 정복기]내게 맞는 카메라 선택하는 법
- [부동산캘린더]식지않는 분양열기..전국 15곳 청약 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