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 강화의 중심 전등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강화에 가면 전등사에 갑니다.
마니산 없는 강화는 상상할 수 없듯이, 전등사 없는 강화 역시 어불성설입니다.
전등사를 들어가며 가장 눈에 띄는 건 역시나 삼랑성입니다.
조선왕조실록이 보관되어 있던 곳인데요, 강화도가 조선조정에게 어떤 의미였는지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이희동 기자]
ⓒ 이희동 |
ⓒ 이희동 |
ⓒ 이희동 |
ⓒ 이희동 |
ⓒ 이희동 |
강화에 가면 전등사에 갑니다. 마니산 없는 강화는 상상할 수 없듯이, 전등사 없는 강화 역시 어불성설입니다. 기록에 의하면 서기 381년 창건되어 현존하는 사찰 중 가장 오래 되었다고 하니 당연히 그럴 수밖에요.
전등사를 들어가며 가장 눈에 띄는 건 역시나 삼랑성입니다. 단군의 세 아들이 쌓은 토성을 기초로 세워졌다는데요, 조선말 이곳에서 양헌수 장군이 프랑스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뒀다고 하네요. 그런데 그 승리가 허울만 좋은 건 아니었는지.
계단 끝 누각을 지나면 이제부터는 부처의 세상이 펼쳐집니다. 대웅전이 가운데서 중심을 잡고 가람들이 그 배치만으로 하나의 세계를 구현하고 있죠. 평소 사찰 건축에 관심이 많거나 터에 관심이 많은 이들에게는 꼭 권하는 전등사입니다.
마지막으로 들를 곳은 사찰 뒤의 정족산사고지입니다. 조선왕조실록이 보관되어 있던 곳인데요, 강화도가 조선조정에게 어떤 의미였는지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 해당 기사는 모바일 앱 모이(moi) 에서 작성되었습니다.
▶ 모이(moi)란? 일상의 이야기를 쉽게 기사화 할 수 있는 SNS 입니다.
▶ 더 많은 모이 보러가기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