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현수, 러시아 아닌 미국 대표선수로 뛸 뻔했다?

2017. 1. 3. 17: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안현수(31·러시아명 빅토르 안)는 2014 소치 올림픽 때 미국 대표로 뛸 수도 있었다.

동아일보 분석 결과 소치 올림픽 러시아 대표 선수 213명 중 14명(6.6%)은 러시아 출신이 아니었다.

소치 올림픽 전체 출전 선수 2749명 중 최소 120명(4.4%)이 귀화 선수다.

2010 밴쿠버 대회 때 개최국 캐나다의 귀화 선수 비율은 8.0%(201명 중 16명)로 소치 때 러시아보다 더 높았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
안현수(31·러시아명 빅토르 안)는 2014 소치 올림픽 때 미국 대표로 뛸 수도 있었다.

당시 안현수가 남자 쇼트트랙에서 3관왕을 차지하자 미국 언론은 미국이 러시아와 끝까지 안현수 귀화 경쟁을 벌였지만 패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러시아의 금전적인 유혹(financial enticement)이 더 매력적이었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러시아는 개최국인데다 이전까지 올림픽 쇼트트랙에서 금메달을 하나도 따지 못했기 때문에 금 4개를 포함해 메달 19개를 딴 미국보다 안현수가 더 필요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귀화 선수 문제를 프로 스포츠 자유계약선수(FA) 이야기처럼 다루는 기사를 미국에서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안현수뿐만이 아니다. 동아일보 분석 결과 소치 올림픽 러시아 대표 선수 213명 중 14명(6.6%)은 러시아 출신이 아니었다. 소치 올림픽 전체 출전 선수 2749명 중 최소 120명(4.4%)이 귀화 선수다. 평균보다 러시아가 귀화 선수 비율이 1.5배 높았던 것이다. 2010 밴쿠버 대회 때 개최국 캐나다의 귀화 선수 비율은 8.0%(201명 중 16명)로 소치 때 러시아보다 더 높았다. 2006 토리노 대회 때도 개최국 이탈리아는 아이스하키 선수 10명을 포함해 179명 중 20명(11.2%)이 귀화 선수였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올림픽 헌장은 선수는 국가를 대표하는 게 아니라 개인 혹은 팀 자격으로 참가하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올림픽 초창기에는 혼성국 팀이 메달 17개를 가져가기도 했다. 그러다 1908년 각 나라 체육회(NOC)에 출전 선수 선발권을 주면서 올림픽은 점점 국가 대항전 성격을 띠게 됐다. 지금도 한 나라 대표로 뛴 뒤 3년이 경과한 선수는 다른 나라로 국적을 바꿔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다.

황규인 기자 kini@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어제 못본 TV 명장면이 궁금하다면 'VODA'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