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평균 1800만원 기록, 14개구에서 전 고점 돌파
지난 8월 서울 아파트값 평균이 3.3㎡당 1800만원을 돌파한 이후 연이어 최고가를 뛰어넘고 있다. 2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10월 7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3.3㎡당 1877만원으로 전 고점인 2010년 3월 1848만원을 넘어섰다.
서울 아파트값은 2010년 3월 이후 하락세로 돌아섰다. 입주물량 증가와 경기침체 여파로 2014년 1월에는 바닥(3.3당 1622만원)을 기록했다. 특히 서울 25개 자치구 중 절반이 넘는 14개구가 전 고점을 넘어 최고가를 매주 경신하고 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전 고점을 넘은 자치구는 14개로 △서초 △마포 △성동 △중구 △동작 △강서 △서대문 △동대문 △성북 △관악 △은평 △구로 △중랑 △금천 등이다.
그동안 정부가 주택경기를 살리기 위해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금융규제 완화, 청약제도 개편, 재건축 연한 단축, 민간부문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 시장 친화적인 규제 완화 정책을 쏟아부은 결과"라는 분석이다.
특히 서초구는 2013년 1월 3.3㎡당 2500만원 대로 떨어진 이후 최근 주요 재건축 단지가 사업에 속도를 내면서 아파트값이 수직 상승해 올 6월 처음으로 3000만원을 돌파했다. 이달 현재 3.3㎡당 3217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마포구는 지난해 5월 3.3㎡당 1700만원을 넘어선 이후 채 1년이 되기도 전인 올 3월 1800만원을 넘어섰고, 현재 1881만원까지 치솟았다. 성동구 역시 지난해 9월 3.3㎡당 1700만원을 돌파하고 1년이 조금 지난 시점인 지난달 1800만원을 넘어섰다.
그동안 정부가 주택경기를 살리기 위해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금융규제 완화, 청약제도 개편, 재건축 연한 단축, 민간부문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 시장 친화적인 규제 완화 정책을 쏟아부은 결과"라는 분석이다.
업계에서는 당분간 이같은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상승 분위기는 계속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택공급 축소를 골자로 한 8·25 대책 발표 이후 기존주택은 물론 신규분양 단지의 희소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집주인들은 매물을 회수하거나 호가를 높이고 있는 데다 가을 이사철로 접어들면서 실수요자의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lionking@fnnews.com 박지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日 후지TV, 아나운서 성상납 시키려했다" 폭로 파장 '일파만파'
- 소유 "길에서 정신 잃고 쓰러져, 누가 몸 만지는 느낌 받았다"
- 폭력 남편과 이혼 10년 만에 '땅' 존재 알아…재산분할 가능할까
- 무안공항 개량사업 했던 前공항공사 사장, 숨진 채 발견
- '만삭' 손담비, 안타까운 소식…"내일 재검, 떨린다"
- 송혜교 "대중목욕탕 간다…알몸 창피해서 얼굴만 가려"
- "임신 김민희, 한밤 분리수거 모습 포착…22세 연상 홍상수 젊어보이더라"
- 김세레나 "유부남에 속아 21살에 결혼…협박 당해"
- '생후 한 달 딸 시신 캐리어에 4년 방치' 친모 2심도 중형 구형
- 박하선 "남편 류수영, 5명과 키스신…동네 개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