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욕의 현장에 '거꾸로 세운 동상'..아픔도 유산으로

송지혜 2015. 8. 22. 22:1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광복 후 7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곳곳에 일제의 잔재가 남아있습니다. 요즘엔 이 잔재를 아예 없애버리는 게 아니라 '네거티브 유산' 즉 아픔도 유산으로 삼자며 보존하는 방법을 택하기도 합니다.

송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남산 기슭의 옛 조선 통감부 관저터.

한일합병 조약이 체결됐던 치욕의 현장에 거꾸로 세운 표석이 세워졌습니다.

이 거꾸로 된 글자는 반사되는 돌을 통해 제대로 읽을 수 있는데요.'남작 하야시 곤스케 군상'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1900년대 주한 공사를 지내며 조선 침략의 원흉으로 꼽히는 하야시 곤스케의 동상 잔해 석 점을 발굴해 거꾸로 세운 겁니다.

[서해성 예술총감독/서울시 : 침략했던 일제에 대한 모욕을 주고 싶었고요. 무엇보다 우리 가슴, 국토에 거꾸로 심고 싶었습니다.]

폴란드의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 영국의 국제 노예 박물관,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 취조실, 상암동 일본군 관사 등이 모두 이런 네거티브 유산에 속합니다.

2010년 복원된 이 일본군 관사는 현재 전시관 등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전우용/역사학자 : (네거티브유산 보존은) 역사에 교훈거리를 남겨두고 그걸 통해 아픈 상처를 대면하면서, 그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자신을 다듬는(의미가 있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