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욕의 현장에 '거꾸로 세운 동상'..아픔도 유산으로
송지혜 2015. 8. 22. 22:19
[앵커]
광복 후 7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곳곳에 일제의 잔재가 남아있습니다. 요즘엔 이 잔재를 아예 없애버리는 게 아니라 '네거티브 유산' 즉 아픔도 유산으로 삼자며 보존하는 방법을 택하기도 합니다.
송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남산 기슭의 옛 조선 통감부 관저터.
한일합병 조약이 체결됐던 치욕의 현장에 거꾸로 세운 표석이 세워졌습니다.
이 거꾸로 된 글자는 반사되는 돌을 통해 제대로 읽을 수 있는데요.'남작 하야시 곤스케 군상'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1900년대 주한 공사를 지내며 조선 침략의 원흉으로 꼽히는 하야시 곤스케의 동상 잔해 석 점을 발굴해 거꾸로 세운 겁니다.
[서해성 예술총감독/서울시 : 침략했던 일제에 대한 모욕을 주고 싶었고요. 무엇보다 우리 가슴, 국토에 거꾸로 심고 싶었습니다.]
폴란드의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 영국의 국제 노예 박물관,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 취조실, 상암동 일본군 관사 등이 모두 이런 네거티브 유산에 속합니다.
2010년 복원된 이 일본군 관사는 현재 전시관 등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전우용/역사학자 : (네거티브유산 보존은) 역사에 교훈거리를 남겨두고 그걸 통해 아픈 상처를 대면하면서, 그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자신을 다듬는(의미가 있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JTBC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백제 궁궐에도 '수라간 장금이?'..부엌터 최초 발견
- IS, 고고학자도 참수..유물 정보 알려주지 않아 살해
- '징용을 기억하라'..피해기록물 세계유산 등재 추진
- 부산대 교수 투신 사망 "총장 간선제 수순..참담하다"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