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드러운 음악 좋아하나요? '공감형' 인간이군요 (연구)

2015. 7. 23. 18: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즐겨 듣는 음악의 종류를 통해 그 사람이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을 추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지난 10년간 과학자들은 음악 취향이 연령이나 성격 등 개인적 특성을 반영하는지 여부를 두고 여러 가지 연구를 벌여왔다.

그 결과 새로운 경험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블루스, 재즈, 클래식, 포크 등을 좋아하며 외향적이고 붙임성 있는 사람들은 팝, 소울, 펑크(funk),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을 즐겨듣는다는 이론 등이 발표됐었다.

이번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 연구팀은 그러나 성격보다는 ‘인지 유형’(cognitive style)에 따라 음악 취향이 달라지는지 여부를 확인했다. 즉,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의 차이에 따른 음악성향을 분석한 것.

우선 연구팀은 기존 심리학 이론에 기초해 사람들의 인지 유형을 크게 ‘공감’(empathiser) 유형과 ‘체계’(systemiser) 유형으로 나누었다. 공감 유형 인물은 타인의 감정에 초점을 맞추는 성향을 지니며 체계 유형 인물은 세계를 구성하는 규칙과 패턴을 찾아내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연구팀은 설문을 통해 4000명의 실험 참가자를 공감형과 체계형으로 구분했다. 그리고 며칠이 지난 뒤 각자에게 음악 50 곡에 대한 평점을 매기도록 요청했다. 50곡의 음악은 26가지 서로 다른 장르에서 고루 선정했다.

그 결과 공감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R&B나 포크 음악, 어덜트 컨템포러리(주로 70년대 소프트 록 등 ‘듣기 쉬운’ 음악 장르를 아울러 일컫는 말)와 같이 ‘부드러운 음악’을 선호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또한 이들은 포크 음악, 싱어송라이터 음악, 유로팝 등 ‘난해하지 않은’(unpretentious) 대중음악을 좋아했다. 또한 펑크(punk)나 헤비메탈 등 격렬한 음악은 좋아하지 않는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와 정반대로 체계 유형 인물들은 격렬한 음악을 좋아하는 반면 부드러운 음악이나 유행가를 싫어하는 성향을 보였다.

연구진은 좀 더 구체적인 조사를 통해 공감 유형의 사람들은 ‘부드럽고’(gentle) ‘사색에 잠기게 하며’(reflective), ‘섹시하고’(sensual), ‘따듯한’(warm) 음악적 요소들을 좋아하며, 서정적 깊이가 있거나 우울한 느낌의 가사를 선호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반면 체계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강하고’(strong) ‘긴장감 있으며’(tense) ‘스릴 넘치는’(thrilling) 요소들을 더 좋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를 이끈 데이비드 그린버그는 이번 발견이 음악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유명한 온라인 음악 서비스 업체들은 사용자의 음악 성향을 알아내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많은 비용을 들이고 있다”며 “이들이 개인의 사고방식을 분석한다면 각자에게 보다 알맞은 맞춤형 음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논문의 책임 저자 제이슨 렌트프로우 박사는 “이러한 유형의 연구들은 음악취향이 개인의 내면을 반영한다는 사실을 조명하고 있다”며 “음악은 우리의 정서, 사회성, 인지 방식 등 다양한 부분을 대변하는 수단”이라고 결론지었다.

사진=ⓒ포토리아

방승언 기자earny@seoul.co.kr

[나우뉴스 다른기사 보러가기]

☞ 10세 소녀 출산 충격…“새아버지가 성폭행”☞ 6명 남학생을 ‘성노리개’ 삼은 ‘색마’ 女교사 충격☞ 과식이 부른 화?…산미치광이 먹다 죽은 구렁이☞ 체조선수, 노출의상 논란...얼마나 야해서?☞ 욕실에 악어가...손 잘린 멕시코 여자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